반응형

장애물 달리기 5

장애물 달리기 경기 방법과 경기 규칙

경기 규칙 1. 경기 종목 100mH(여), 110mH(남), 400mH, 3000mH 2. 출발 중지"제자리에", 혹은 "차려"라는 구령에 적절히 따르지 않거나, 적당한시간 내에 최종 출발 자세를 취하지 않았을 때"제자리에" 구령 후에 다른 선수들을 방해하였을 때 3. 부정 출발 최종 차려 자세를 완전히 취한 후 출발 신호 전에 출발하였을 때 4. 실격선수가 각자의 장애물을 넘지 않았을 때발 또는 다리가 장애물을 넘는 순간에 장애물 상당의 수평면보다 낮게 통과하였을 때고의로 허들을 넘어뜨렸다고 심판장이 판단할 때장애물을 넘을 때 장애물의 바깥으로 통과했을 때, 발 또는 다리가 장애물 상단의 수평면보다 밑으로 통과했을 때(3000m 장애물달리기 경기)5. 순위 결정 선수의 동체(머리, 목, 팔, 다리, ..

장애물 달리기 경기 진행

장애물 달리기 경기 진행 경기 전경기 운영 본부는 스타트 용구와 허들 설치 사항을 점검한다.심판진들은 경기 운영 방식과 경기 규칙을 숙지하고 각자의 위치로 간다. 경기 시작심판은 모든 선수가 움짐이지 않고 올바른 스타트 자세를 취한 것을 확인한 후, "제자리에" - "차렷"한 다음에 스타트 신호총을 발사하거나 공인된 스타트 장치를 작동시킨다.선수는 "제자리에" 구령에 따라 스타트 라인 뒤 배정받은 레인 안에서 완전한 출발 자세를 취해야 한다. 그리고 경기 중에는 각자의 레인 안에서 자신의 허들을 넘으며 달려야 한다.스타터는 부정 출발에 관련된 경고와 실격 여부를 결정한다.감찰원은 선수들의 경기 중 반칙 여부를 결정한다. 경기 종료계시원은 트랙 바깥쪽 피니시 라인 연장선 상에 위치해야 하며, 피니시한 모든..

400mH 장애물 달리기

경기 초반에는 비교적 큰 보폭으로 달리고(남자는 13~15보, 여자는 17~19보로 달리는 것이 이상적), 속도가 떨어지는 후반에는 보폭을 줄이고 빠른 속도로 달린다. 400mH 장애물달리기 선수의 조건 400m 장애물달리기 경기에서는 단거리달리기 선수와 같이 폭발적인 스피드를 연장시킬 수 있는 근지구력과 비교적 긴 거리를 일정한 속도를 유지한 채 달리는 데 필요한 지구력이 필요하다. 구간별 장애물 넘기에서 발구르기는 되도록 뒤에서 하여 장애물을 스치며 넘어야 한다. 아울러, 400mH 장애물의 마지막 장애물까지 바른 자세를 유지하려면 지속적인 훈련으로 다져진 강한 신체와 정신력을 지녀야 한다.

출발에서 제 1 장애물까지 달리기

출발은 크라우칭 스타트로 하며, 제1 장애물을 넘기 직전까지는 속력을 최대로 끌어올린다. 출발 후 8보째에 발구르기 하여 제1 장애물을 넘는 것이 일반적인데, 1~4보는 몸을 기울인 자세로 최대한 가속하고, 5~7보는 상체를 일으켜 보폭을 크게 하되, 마지막 7보와 8보 사이의 폭을 그전보다 작게하여 수평 속도를유지하며 발구르기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