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와 삶/국민 경제 48

필립스 곡선을 알아보자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1958년 필립스A.W. Phillips는 1861~1956년 기간 중 영국의 실업률과 명목 임금 변화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을 그린 후 실업률이 낮은 기간에는 명목 임금이 크게 상승하였고 실업률이 높은 기간에는 명목 임금이 낮게 상승하였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림에서 A는 B보다 인플레이션율이 높다. A에서 B 상태로 인플레이션율을 낮추고자 한다면 반대로 실업률이 높아지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대로 실업률을 낮추고자 할 때에도 인플레이션율이 높아지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 이는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을 동시에 낮추는 것은 마치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는 것만큼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정책 당국은 A와 B의 정책 목표 중 하나를 선택..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편다

인플레이션이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정책 당국은 다양한 쟁책을 마련하여 물가 안정을 도모한다. 우선 대부분 국가에서는 중앙은행을 정부로부터 독립시켜 독자적으로 금융 정책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물가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전체적인 수요 증가에 따라 나타나는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한 긴축 정책을 편다. 그러나 전체적인 공급 감소에 따른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의 경우에는, 물가 상승과 함께 경기 침체가 나타나는 스테그플레이션이 발생하기 때문에 긴축 정책으로 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물가 상승을 임의로 억제하면 그만큼 더 심각한 경기 침체를 겪게 되어 실업의 문제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디플레이션은 국민 경제에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디플레이션은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경기와 관계없이 물가 수준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 국가에서는 통화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통화량이 늘어나면 그만큼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고 이는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수요 감소로 나타나는 침체기에도 디플레이션이 나타나기보다는 주로 물가 상승률만 낮아지는 현상이이 나타난다. 물가가 상승하기는 하지만 그 폭이 호황기에 비해 줄어든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디플레이션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아니다. 1920년대 말 대공황 시기에 전 세계는 디플레이션을 경험하였다. 우리나라도 1997년 말과 1998년 외환 위기 때 경기 침체의 폭이 커지면서 디플레이션을 경험한 바 있다.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보..

인플레이션은 국민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적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기업의 원활한 생산 활동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적정 수준을 넘어서는 인플레이션은 국민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우선, 적정 수준보다 높은 인플레이션은 경제의 불안정성을 심화시켜 경제 성장을 저해할 루 있다. 경제가 불안정해지면 사람들은 저축을 줄일 것이고 기업들도 투자를 꺼리게 되어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이 저해된다는 것이다. 둘째, 인플레이션은 부와 소득을 자의적으로 재분배한다. 물가가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 부동산이나 귀금속 같은 실물 자산의 가격은 구입하려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 실물 자산을 보유한 사람들과 월급 생활자와 같이 화폐 소득에 의존하는 사람들 간에 소득 격차가 커진다. 또한, 물가가 계속 오르면 자영업자..

물가 지수를 통해 홰폐의 구매력을 측정하고 경제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물가 지수는 어떤 용도로 쓰일까? 우선 물가 지수는 화폐의 구매력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물가가 오르면 같은 돈을 가졌더라도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는 상품의 양이 적어진다. 돈의 가치가 떨어져 구매력이 하락하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물가 지수를 이용하면 화폐의 구매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물가 지수는 정책 당국이 경제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경제 지표의 역할을 한다. 의사가 체온을 측정해 환자의 몸 상태를 진단하는 것처럼 정책 당국도 물가 지수의 변화를 통해 경제의 상태를 파악한다. 물가 지수의 변동 폭이 크면 정책 당국은 이를 경제의 이상 정세로 판단하여 다양한 물가 안정화 대책을 마련한다. 인플레이션은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것은 공급보다 수요가 많아 나타..

소비자 물가 지수 품목 개편으로 본 생활 변화

통계청은 5년마다 정확한 소비자 물가 조사를 위해 대상 품목을 교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사 품목을 시기별로 살펴보면 소비 행태가 꾸준히 변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광복 직후, 1947년에는 쌀, 장작, 고춧가루 이 세 가지 품목이 가계 소비 지출의 거의 절반 정도(46.3%)를 차지하였다. 산업화로 고도성장을 구가했던 1970년대에는 흑백텔레비전, 냉장고, 선풍기, 전화기 등 각종 가전제품이 조사 대상에 포함된 반면, 시골 장터의 인기 품목이었던 장국밥, 곰탕 등은 조사 대상에서 빠졌다. 1980년대에는 컬러텔레비전, 전철 이용료, 초코파이, 생맥주 그리고 학원비와 같은 사교육비가 본격적으로 포함되었다. 이에 비해 흑백 필름, 흑백텔레비전, 고무신, 머릿기름 등 1960~1970년대 생활 속에 ..

소비자 물가 지수와 생산자 물가 지수, GDP 디플레이터

소비자 물가 지수는 일상적인 소비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이는 가계의 생계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일반인뿐만 아니라 물가 안정을 이루려는 정책 당국의 관심도 높다. 생산자 물가 지수는 생산을 위해 기업 상호 간에 거래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기업들의 생산 비용은 결국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생산자 물가 지수는 소비자가 물가 지수의 변동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다. 한편, GDP 디플레이터는 명목 국내 총생산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이다. 이는 가계의 소비 생활뿐 아니라 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 물가 지수보다 더 포괄적인 성격을 갖는다.

물가는 여러 상품의 가격을 총체적으로 묶어 표현한 것이다

가격은 우리가 필요한 재화나 서비스를 살 때 지불하는 돈의 액수를 말한다. 시기에 따라 어떤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은 상승하고, 또 어떤 것들의 가격은 하락한다. 즉, 개별 상품의 가격 변동으로 전반적인 상품 가격이 상승했는지 하락했는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물가는 여러 상품의 가격을 총체적으로 묶어 표현한 것이고, 물가의 변화는 전반적으로 상품 가격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물가 지수는 이러한 종합적인 물가 수준으로 기준 연도를 100으로 하여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2005년을 기준 연도로 하여 물가 지수를 작성하였더니 2010년에 115였다면, 물가 수준은 5년 동안 15% 상승하였다는 의미이다.

노동 시장과 산업 구조 변화에 따른 고용 없는 성장

1990년대 이후 '고용 없는 성장'이 세계 경제의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과거에는 국가 경제의 총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 및 투자가 활성화되고 자연스럽게 고용이 증가해 왔지만, 최근에는 노동 시장과 산업 구조 및 경제 환경의 변화 등으로 말미암아 생산이 증가하고 있는데도 고용 여건은 크게 나아지지 않고 있다. 고용 없는 성장은 이미 선진국에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됐다. 우리나라에서도 1977년 말 외환 위기 이후 경제 회복 과정에서 GDP가 증가하였지만, 과거와 같은 고용 개선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고용 없는 성장의 원인으로는 우선 산업 구조가 점차 고도화되면서 고용 창출이 높은 노동 집약적인 산업이 감소하고 지식·자본 집약적인 산업이 증가한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제조업 등 노동 집..

실업의 종류와 그 해결 방안

구조적 실업은 실업에 처한 사람이 실업으로부터 빠져나오기가 쉽지 않아 실업 상태가 장기화할 수 있다. 특히 경제 구조가 급속히 변하고 있는 사회에서는 구조적 실업이 불가피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고용 자원 센터 등을 통해 취업 정보를 제공하고 직업 훈련을 하여 사람들이 새로운 산업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마찰적 실업은 자신의 적성에 맞는 일자리를 찾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겪는 실업이므로 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신속히 찾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의 고용 관련 정보 제공 또는 취업 알선 등을 통해 직업 탐색 과정을 단축하게 하는 정책은 마찰적 실업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계절적 실업은 계절의 변화에 따른 비수기 또는 기후의 변화에 따른 잦은 휴업으로 불가피하게 나타나는 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