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삶/경제란48

편익과 비용에 대한 유인과 반응 합리적인 사람은 편익과 비용을 비교해 의사 결정을 하므로 편익이나 비용이 달라지면 선택도 달라진다. 유인은 편익이나 비용에 변화를 주어 사람들의 행동 및 선택을 유도하거나 바꿀 수 있는 요인이다. 유인의 종류로는 돈과 관련된 경제적 유인, 도덕심에 의존하는 유인, 신체상의 구속을 담는 강압적 유인이 있는데 경제학은 경제적 유인에 초점을 둔다. 경제적 유인은 다시 두 가지로 나뉜다. 보상이나 이득처럼 편익이 증가하여 어떤 행위를 하게 하는 긍정적 유인과, 벌금이나 손실처럼 비용이 증가하여 어떤 행위를 덜 하게 하는 부정적 유인이 그것이다. 경제적 유인은 사람들의 선택에 영향을 준다. 그래서 경제적 유인은 경제 주체들의 선택에 의해 작동되는 시장 경제의 원동력으로 평가된다. 시장 경제에서 사람들의 경제적 선.. 2017. 3. 15.
학교 농구장 사용을 위한 의사 결정표 만들기 점심 시간이 되면 학교 농구장은 늘 혼잡하다. 서로 먼저 사용하기 위해서 점심을 먹는 둥 마는 둥 하는 학생들이 허다하며 사용권을 놓고 학생들 사이에 논쟁도 번번하게 발생한다. 학생회는 농구장 사용을 놓고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학생회는 선택 대안으로 선착순, 농구장 사용권 판매, 고학년 순의 세 가지를 생각하고 있다. 대안을 한 가지 이상 생각해서 제안하고 의사 결정표를 만들어 가장 바람직한 선택 대안을 결정해 보자. 2016. 10. 24.
성진이의 최종 선택하기 의사 결정표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대안을 선택함으로써 의사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때 선택의 기회비용이 가장 작은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성진이는 16점을 얻은 휴대 전화를 구입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때 기회비용은 14점의 MP3 플레이어이다. 2016. 9. 24.
대안 평가하기 - 의사 결정 모형 이번 단계에서는 충분한 자료와 정보를 수집해 각 선택 대안을 구체적으로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대안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기준을 가장 잘 충족하는 대안에는 높은 점수를, 그렇지 못한 대안에는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평가가 끝나면 대안별로 점수를 합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것이 바람직한 선택 대안이 된다. 동일한 대안과 기준이라 하더라도 평가하는 사람의 선호나 가치관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2016. 9. 4.
기준 설정하기 - 의사 결정 모형 나열한 대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평가 기준을 정리하는 일이 의사 결정의 셋째 단계이다. 여러 가지 대안의 특성이나 장단점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비용, 필요성, 내구성, 사용 기간 등 다양한 평가 기준이 가능하며 사람마다 다른 기준을 제시하기 마련이다. 또한 중요도에 따라 각 평가 기준의 서열을 정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필요성에 대해서 다른 기준보다 더 높은 비중을 부여하는 것이다. 성진이는 얼마 동안 사용할 것으로 예상하는지를 고려하는 예상 사용 기간, 상품 구입 후 추가로 들어가야 하는 유지 비용, 가장 시급하게 필요한 정도를 나타내는 필요성, 얼마나 자주 사용할 수 있는지의 유용성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4개의 기준에 대해서 동일한 비중을 부여하기로 하였다. 2016. 8. 16.
의사 결정 모형 대안 나열하기 의사 결정 모형의 둘째 단계는 취할 수 있는 선택 대안들을 나열하는 일이다. 이 세상에는 수많은 선택 대안이 있지만, 모든 대안을 고려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상식적으로 타당한 개수의 대안을 나열한다. 성진이가 구입하고 싶은 상품들을 나열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때 나열한 선택 대안들은 20만 원으로 구매할 수 있는 가격 범위 안에 있어야 한다. 성진이는 선택 대안을 휴대 전화, MP3 플레이어, 게임기, 운동화와 옷 한 벌의 4가지로 좁혔다. 2016.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