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학 작품 7

문학 작품과 영화의 동시 감상

문학 작품이 영화화되어 있는 경우, 문학 작품의 독서와 영화의 감상을 병행하면 문학 작품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내용이 난해한 작품인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영화는 사건이 생생하게 시각적으로 드러나 있어 내용을 이해하고 주제를 파악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또한 독자는 영화를 보면서 문학 작품의 내용을 비교·분석하며 음미함으로써 서로 다른 두 갈래의 특성을 파학할 수도 있다. 오늘날에는 영상 매체의 발달로 문학의 스크린 나들이가 더욱 활발해졌다. 영화뿐만 아니라 텔레비전의 드라마를 통해서도 문학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 문학 작품이 영화나 드라마로 제작될 때 어떻게 인물을 설정하고 성격을 드러내는지, 어떤 내용이 첨삭되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흥미롭다.

자신의 삶으로 구체화하고 창작 능력 기르기

문학 작품의 창조적 재구성은 단지 문학 작품을 재구성해 보는 것으로 거쳐서는 곤란하다. 독자는 그러한 행위가 자신의 삶 속에서 구체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즉 독자는 문학 작품의 수용 과정에서 내면화된 문학 작품의 가치를 창조적으로 재구성하고, 그 결과를 자신의 삶의 태도와 연결시켜야만 한다. 문학 활동이 특정한 시·공간에서만 이루어진다는 생각은 옳지 않다. 문학 활동은 일상적인 대화나 생활 현장에서도 늘 이루어지는 것이다. 영국인들은 일상적인 대화에서도 셰익스피어의 연극 대사를 곧잘 활용한다고 한다. 우리 조상들도 김을 매거나 길쌈을 하면서 노래를 지어 불렀으며, 이러한 노래는 오늘날에도 구전되고 있다. 이러한 행위들은 문학 활동이 일상 생활 속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잘 보여 주는 좋은 사례..

내용·형식·표현의 긴밀한 관계

문학 작품의 수용과 창작에서 작품의 내용·형식·표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작가는 하나의 작품을 완결된 존재로 만들어 나가며, 독자는 작품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하게 된다. 이제 문학 작품에서 내용·형식·표현의 구성 요소들이 맺고 있는 긴밀한 관계를 살펴보자. '내용'이란 문학 작품이 담고 있는 그 '무엇'을 가리킨다. 그것은 구체적인 사물에 관련된 것일 수 있으며, 인간의 삶과 관련된 것일 수도 있다. 작가는 이러한 문학 작품의 내용을 통해서 자신의 사상이나 감정을 드러내며, 수용자는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문학 작품의 주제를 파악하게 된다. 그러나 문학 작품에서 내용은 그 자체만으로는 드러날 수 없다. 그것은 언제나 언어를 사용하고, 재료를 조직하는 특정한..

문학 작품의 창작 과정

작품의 창작 과정은 창작 원리를 활용하여 언어적·예술적 구성물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문학 창작의 과정을 창작 전, 창작 중, 창작 후의 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보자. ■ 창작 전 과정일상 생활이나 주변의 자연적·사회적 환경을 세심하게 관찰하여 문학적 소재를 선정한다.자신이 선정한 문학적 소재를 통해 어떤 의미(주제)를 전달할 것인가를 결정한다.이 과정에서 문학적 대상에 대한 자신의 개인적 경험을 되돌아보거나 일상 생활에서 보고 들은 경험을 떠올려 본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상과 공상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생각해 낼 수도 있다.표현하고자 하는 경험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갈래와 표현 방법을 결정한다.갈래적 관습을 고려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경험을 구체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낸다. ..

문학 작품이 독자의 삶에 끼치는 영향 느끼기

-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콩쥐팥쥐전' 독서 일기 - 나는 오늘 며칠 전에 선물로 받은 '콩쥐팥쥐전'을 읽었다. 책을 읽는 내내 팥쥐를 꼬집어 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엄마를 잃은 가여운 콩쥐를 심술로 못살게 하는 팥쥐가 참 미웠다. 그리고 팥쥐가 그렇게 못살게 하는 데도 아무 말하지 않고 일만하는 콩쥐가 바보스럽게 여겨지기도 했다. 또 콩쥐는 화낼 줄 모르는 사람 같았다. 나는 동생이 조금만 귀찮게해도 짜증을 내고 구박하는데, 콩쥐는 심술궂은 팥쥐를 오히려 아껴주는 것이었다. 그래서 좀 부끄러웠다. 나는 콩쥐에게서 많은 것을 배워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앞으로는 엄마 말씀도 잘 듣고, 아빠 심부름도 잘 하고, 동생도 잘 보살펴 주는 착한 사람이 되어야겠다.

문학의 가치화와 태도에 대한 길잡이 글

'행복의 메타포'라는 수필을 떠올려 보자. 성전을 짓고 있는 세 사람의 석공들은 '왜 이 일을하느냐?'라는 질문에 한 사람은 '죽지 못해서', 다른 한 사람은 '돈을 벌려고', 그리고 남은 한 사람은 '신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해서'라고 대답했다. 이후로 그 일의 결과나 보람은 각각 어떠했을까? 문학 활동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학습이나 시험이라는 목적 때문에 소극적·수동적으로 문학 작품을 읽는 경우와, 적극적·능동적으로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창작하여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경우에 느끼는 감동이나 희열은 서로 비교할 수 없을 것이다. 문학 활동은 개인적 차원의 문제만은 아니다. 문학 작품을 감상하거나, 친구들과 함께 습작 시를 써서 돌려 읽는 등의 문학 활동은 개인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 나아가서는 ..

문학언어의 함축적, 다의적 표현은 일상 생활에서는 적용이 어렵다

문학의 표현 매체는 언어이다. 음악이 소리로, 그림이 색채로, 무용이 몸짓으로 아름다움을 구현하는 것처럼, 문학은 언어를 독특하게 사용하여 아름다움을 구현한다. 그렇다면 문학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 우리가 문학 작품을 통해 접하게 되는 언어는 겉으로 보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와 큰 차이가 없다. 사실 문학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따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일상의 언어는 문학의 언어가 탄생할 수 있는 언어의 보고이다. 하지만 시인이나 작가는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독특한 방식으로 재구성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문학의 언어와 일상의 언어는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난다. 언어는 우리가 살아가는 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하거나 의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