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격 탄력성 6

우리 생활 속에 숨어 있는 탄력성 사례

'세일'처럼 평소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백화점의 판매 전략은 경험적으로 그렇게 하는 것이 백화점의 수입을 증가시켜 더 많은 이윤을 얻을 수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수요의 가격 탄력성을 이용한 판매자의 전략에는 세일 이외에도 다양하다. 영화관이나 박물관에서의 청소년 할인 요금 제도, 비행기의 주말 할증 요금 제도 등은 구매자의 특성이나 시간대에 따라 다른 수요의 가격 탄력성을 이용한 것이다. 동네 대중목욕탕에 가도 이 같은 행태를 발견할 수 있다. 목욕료는 대인과 소인으로 구분된다. 대개 아주 어린 아니의 아이들에게 적용되는 '소인' 요금은 어린아이들의 대중목욕탕에 대한 탄력적인 수요 때문이다. 어린아이들이 물 사용량이 적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 물 사용량..

판매 수입과 수요의 가격 탄력성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있다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가격의 변동에 따라 수요량이 얼마나 변화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지표이다. 이는 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자신들이 판매하는 상품의 가격 변동에 따라 수요자들의 지출액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기업들은 자신들의 판매하는 상품의 수요의 가격 탄력성에 민감하다. 예를 들어 어떤 상품의 가격이 10% 오를 때 수요량 역시 10% 감소하였다면 판매 수입에는 변동이 없을 것이다. 한편, 상품의 가격이 10% 오를 때 수요량이 11% 이상 감소하는 탄력적인 상품이라면 가격이 오를 때 이 기업의 판매 수입은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자신이 판매하는 상품이 탄력적인 재화라고 판단하면 가격을 인하하고, 비탄력적인 재화라고 판단하면 가격을 인상함으로써 수입을 증가시키려고 한..

모나리자와 공급의 가격 탄력성

프랑스 루브르 박믈관에 걸려 있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걸작 '모나리자' 앞에는 전 세계에서 몰려든 관람객들로 항상 붐빈다. 이런 모나리자의 공급 곡선은 어떤 모양을 할까? 그렇다, 단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 진품 모나리자의 공급 곡선은 수직이다. 가격이 아무리 높다고하더라도 더 이상 공급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공급의 가격 탄력성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가격이 아무리 변동하더라도 공급량의 변화는 없다는 의미이고, 이를 수치로 나타내면 0이다. 이를 완전 비탄력적인 공급이라고 한다. - 테일러, "테일러 경제학" -

해외 여행 수요의 가격 탄력성

해외 여행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높은 대표적인 사례이다. 해외 여행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높은 첫 번째 이유는 해외 여행은 대부분 사람들에게 사치재이기 때문이다. 여러분은 외국에 못 가 본 것이 아쉬울 수는 있지만, 안 가도 사는 데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두번째 이유는 해외 여행에 대해서 국내 여행이라는 좋은 대체재가 있기 때문이다. 샌프란시스코 여행이 너무 비싸다고 느끼는 캐나다 인들은 밴쿠버 여행이 이에 대한 좋은 대안임을 알게 된다. 실제로 1990년대 초와 2000년대 초 사이에 미국과 캐나다의 관광객 수가 역전되는 형상이 일어났다. 1992년에는 1,860만 명의 캐나다 인이 미국을 방문하였지만, 미국인은 1,180만 명만이 캐나다를 방문하하였다. 그러나 10년 후인 2002년에는 캐나다를 ..

상품의 성격, 대체재의 존재 여부, 시간이 수요의 가격 탄력성의 크기를 결정한다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가격의 변동에 따른 수요자의 선택 폭이 넓을수록 그리고 수요자가 보다 유연하게 가격의 변동에 대처할수록 커진다. 이를 요인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의 성격을 들 수 있는데 필수품의 성격을 갖는 상품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작은 반면, 사치품의 성격을 갖는 것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큰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쌀이나 소금 같은 필수품의 경우에는 값이 싸든 비싸든 거의 일정한 양을 소비하게 되므로 가격 탄력성이 작을 수밖에 없다. 반면, 사치품은 그 재화가 없어도 살아가는 데 큰 지장이 없으므로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크다. 둘째, 대체재가 많은 상품일수록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커진다. 대체재란 콜라와 사이다처럼 이를 소비하는 사람들에게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어느 것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