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의 조선 문학 유교 도덕이나 윤리관에 대신하여, 시민 의식이 고취되고 문화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는 문학적으로 커다란 변화가 있었다. 국문 소설도 나오고, 사설시조도 나오고, 판소리도 나오고……. 또한, 상업 지역을 중심으로 탈놀이도 발달하였다. 독자적인 풍속화나 청화백자가 선보인 것도 이 무렵이다. 문학과 삶/펼쳐진 문학세계 2017.03.28
사이버 문학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사이버 문학이 급격하게 늘어나감에 따라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표를 통하여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자. 컴퓨터 통신에 연재되었던 이우혁의 사이버 판타지 소설 ‘퇴마록’은 책으로 출간됨은 물론,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다음에 그 일부를 읽어보고 사이버 소설과 기존 소설의 차이점을 생각해 보자. 문학과 삶/문학과 문화 2017.03.25
작가가 관찰하고 있는 인간의 현실은? - 이범선의 ‘오발탄’ 에서 이범선의 ‘오발탄’ 에서 작가가 관찰하고 있는 인간의 현실은? 〈 이범선의 ‘오발탄’ 〉 이 작품은 주인공 송철호의 주위에서 일어나는 가족들의 비극적인 삶이 결국 그를 방향 감각을 잃은 오발탄과 같은 존재로 만들고 만다는 이야기다. 전후戰後 한국 사회의 암담한 현실을 고발하고, 전쟁으로 인해 파멸해 가는 인간상과 내면의 허무를 표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문학과 삶/문학 만들기 2017.03.23
소설가 이태준의 약력 이태준李泰俊(1904~1970?) 소설가. 호는 상허尙虛. 〈시대일보〉 ‘오몽녀五夢女’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단하였다. ‘구인회’에 가담하였으며, 정확하고 아름다운 문장으로 하층민의 삶과 지식인의 고뇌를 그린 1930년대 대표 작가이다. 주요 작품으로는 ‘복덕방’, ‘가마귀’, ‘밤길’, ‘해방 전후’, ‘영월영감’, ‘농군’ 등이 있고 문장론 「문장 강화」가 있다. 문학과 삶/문학작가&문학지도 2017.03.20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사회·문화의 변화 민족의 시련,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7년간에 걸친 대전쟁으로 조선 사회를 전·후기로 구분하는 전환점이 되었다. 뒤이어 청나라의 침입을 받아 나라와 국민은 더욱 더욱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우리 민족은 전쟁을 겪으면서 애국·애족의 신념을 강화하게 되고, 이후 정치와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큰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특히 평민이 문화의 주체로서 뚜렷하게 성장하여 시가, 서사, 극 문학 등 문학 갈래를 풍성하게 하였다. 문학과 삶/펼쳐진 문학세계 2017.03.17
광고에서 문학적 요소 찾아보기 신문, 잡지용 광고, 혹은 라디오 광고의 카피 중에서 시적 요소, 혹은 문학적 요소가 나타나 있는지 알아보자. 이 광고 카피는 신발 패션의 리더를 지향한다는 취지를 ‘테러리스트’란 단어로 표현하고 있다.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서 계획적으로 폭력을 사용하는 사람을 뜻하는 테러리스트란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패션 리더의 지향 의지를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문학과 삶/문학과 문화 2017.03.13
소설에서 세밀하게 관찰하기의 예 - 염상섭의 만세전萬歲前에서 다음은 1920년대에 발표된 ‘만세전萬歲前’이란 작품이다. 이 작품에는 어떠한 삶의 모습이 담겨져 있는지 살펴보자. 이 작품에서는 주인공의 시선을 따라 다양한 현실을 포착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한국인을 대하는 일본인의 자세와 당시의 조선 현실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일제 강점기 아래에서 신음하는 우리 민족의 모습을 바라보는 지식인의 고뇌가 잘 드러나 있어 지식인 소설의 한계를 뛰어넘어 근대적 자아 각성을 그린 작품이다. 이 부분은 주인공 이인화의 눈을 통해 바라본 일제 강점 하에 있는 부산의 한 거리 모습이다.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수탈로 인해 궁핍한 삶을 살아가는 조선 사람들의 비극적인 운면을 보여 주기 위하여 작가는 부산 거리의 모습을 그대로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적 묘사는 현실.. 문학과 삶/문학 만들기 2017.03.07
박이문의 ‘집에 대하여’를 읽고 창의적 재구성 하기 박이문의 ‘집에 대하여’를 읽고 이 작품을 비판적·창의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재구성하는 작업을 해보자. 집에 대한 작가의 성찰 과정을 살펴보고, 이 작품에 등장하는 여러 형태의 집들 중에서 가장 이상적이라 생각되는 것을 소재로 선택하여 한 편의 수필을 써 보자. 문학과 삶/문학 받아들이기 2017.03.01
신석정의 ‘그 먼 나라를 아십니까’ 작품 수용하기 신석정의 ‘그 먼 나라를 아십니까’ 작품을 이해·감상하고, 이를 창의적·비판적으로 수용하여, 그 가치를 내면화하는 수용의 단계를 밟아 보자. 문학과 삶/문학 받아들이기 2017.02.24
조창인 작가의 주요 작품 조창인(1961~ ) 소설가. 잡지사와 신문사 기자로 여러 해 동안 일했으며, 한때 출판 기획팀을 이끌며 생명력 있는 많은 책들을 만들어 냈다. 아름답고 따뜻한 사랑 이야기를 그린 ‘그녀가 눈뜰 때’, ‘먼 훗날 느티나무’, ‘따뜻한 포옹’, ‘가시고기’, ‘등대지기’ 등이 있다. 문학과 삶/문학작가&문학지도 2017.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