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사 결정 모형 4

기준 설정하기 - 의사 결정 모형

나열한 대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평가 기준을 정리하는 일이 의사 결정의 셋째 단계이다. 여러 가지 대안의 특성이나 장단점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비용, 필요성, 내구성, 사용 기간 등 다양한 평가 기준이 가능하며 사람마다 다른 기준을 제시하기 마련이다. 또한 중요도에 따라 각 평가 기준의 서열을 정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필요성에 대해서 다른 기준보다 더 높은 비중을 부여하는 것이다. 성진이는 얼마 동안 사용할 것으로 예상하는지를 고려하는 예상 사용 기간, 상품 구입 후 추가로 들어가야 하는 유지 비용, 가장 시급하게 필요한 정도를 나타내는 필요성, 얼마나 자주 사용할 수 있는지의 유용성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4개의 기준에 대해서 동일한 비중을 부여하기로 하였다.

의사 결정 모형 대안 나열하기

의사 결정 모형의 둘째 단계는 취할 수 있는 선택 대안들을 나열하는 일이다. 이 세상에는 수많은 선택 대안이 있지만, 모든 대안을 고려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상식적으로 타당한 개수의 대안을 나열한다. 성진이가 구입하고 싶은 상품들을 나열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때 나열한 선택 대안들은 20만 원으로 구매할 수 있는 가격 범위 안에 있어야 한다. 성진이는 선택 대안을 휴대 전화, MP3 플레이어, 게임기, 운동화와 옷 한 벌의 4가지로 좁혔다.

의사 결정 모형의 문제 인식하기

의사 결정 모형의 첫째 단계는 직면한 희소성 문제가 무엇이며 추구하는 목적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인식하는 일이다. 2년 동안 꼬박 모은 돈 20만 원으로 무엇을 살 것인지 고민하는 성진이를 생각해 보자. 성진이의 문제는 갖고 싶은 것들을 모두 사기에는 돈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20만 원으로 가장 커다란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상품을 선택하는 일이다.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로 만족을 크게 할 수 있다

같은 비용을 들이더라도 선택에 따라 얻는 만족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합리적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한 의사 결정 모형은 의사 결정에 필요한 세부 사항을 모두 포함하고 있지는 않지만,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사고 틀을 제공함으로써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의사 결정 모형은 다섯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충분한 자료와 정보의 확보가 전제되어야 하며 의사 결정 이후에는 자신의 선턱을 평가하고 부족한 점을 반성하는 자세가 바람직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