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높이뛰기6

높이뛰기 경기장과 도구들 규격 도움닫기 주로와 발구름 장소, 매트의 규격 2016. 4. 25.
높이뛰기 도움닫기 1~11보에 발을 맞추어서 도움닫기 하는 경우가 많다. 거리는 주로 10~15m 뒤에 서는 경우가 많고, 오른발잡이를 기준으로 해서 바의 오른쪽 부준에 치우쳐서 시작한다. 11보를 기준으로 하면 약 7보 정도까지는 직선으로 접근하다가, 마지막 3~4보 때 곡선으로 비스듬하게 접근한다. 2016. 4. 19.
높이뛰기 발구르기 자세와 기본 방법들 곡선으로 비스듬하게 바에 접근한 다음 딛는 발이 가로대와 평행을 이루게 한다. 가로대와 딛는 발의 거리는 50cm정도가 적당하다. 발구르기를 할 때에는 발뒤꿈치부터 발가락 방향으로 지면을 강하게 차면서 등을 가로대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킨다. 두 팔은 굽혀서 뒤로 뺐다가 가슴 가운데 쪽으로 모아 흔들어 올린다. 구름발의 반대쪽 발은 굽힌 상태로 높이 들어 올린다. 2016. 4. 17.
높이뛰기에서 공중 동작 및 착지 팔을 흔들어 올린 상태에서 윗몸을 뒤로 젖혀 몸을 활 모양으로 구부려 가로대를 부드럽게 넘는다. 허리가 가로대를 넘으면 다리를 들어 올린다. 착지에서는 무엇보다 안전한 착지가 중요하다. 몸을 펴 무릎으로 얼굴을 치는 것을 방지하고 팔은 자연스럽게 펴면서 착지한다. 이때 턱은 가슴 쪽으로 당기고 몸통이 매트에 닿는 면적을 최대로 넓게 한다. 2016. 4. 13.
높이뛰기의 공중 동작과 신체 중심 높이뛰기에서 신체 중심의 상승 높이는 발구르기 동작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같은 높이에 의해 공중 동작에 따라 넘을 수 있는바의 높이는 달라진다. 여러 가지 높이뛰기 방법 중 배면뛰기가 가장 효율적으로 바를 넘을 수 있는 동작이다. 배면뛰기 높이뛰기 경기 기능 2016. 3. 26.
높이뛰기 경기 기능 특성과 효과 높이뛰기는 도움닫기의 힘으로 얻은 속도를 발구르기 하여 수직 도약력으로 전환사켜 가로대를 넘는 경기이다. 가위뛰기, 엎드려뛰기 등의 동작이 있지만, 요즘은 몸을 뒤로 뉘어 둥글게 하여 등 뒤쪽으로 넘는 배면뛰기(포스베리 뛰기)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특성 보조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높이 뛰어넘는 능력을 겨루는 경기로, 가로대를 넘는 데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다. 도움닫기의 달리기 속도와 발구르기의 도약력이 효과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중요하다. 효과 근력, 순발력, 평형성, 교치성 등의 체력 요소를 고르게 발달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도약을 위한 폭발적인 힘과 조정 능력을 기를 수 있다. 2016.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