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직임과 삶/울산임플란트잘하는치과

전염병 발생과 관리 현황

앞으로가 2015. 5. 18. 12:41
반응형

병원체의 감염에 의한 질병을 감염성 질환이라고 하며, 그 중에서 전염성을 가진 것을 전염병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의학의 발달과 공중 보건 활동의 강화로 감염성 질환과 전염병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여러가지 기상 이변과 더불어 주요 전염병의 발생이 다시 증가하고 새로운 전염병이 발생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


전염병은 전파 속도가 빨라 적절한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피해 규모가 확대될 수 있으므로 국가 차원에서 예방 및 확산 방지 대책을 세우고 시행하고 있다. 특히, 발생 빈도가 높고 전염성이 강한 전염병을 법정 전염병으로 지정하여 예방과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


법정 전염병은 전파 속도나 예방의 용이성 등에 따라 1~4군 및 지정 전염병으로 구분된다. 법정 전염병을 진단한 의사나 한의사는 신속하게 보건 당국에 보고해야 하고, 보건 당국은 역학 조사[각주:1]를 하여 법정 전염병이 확산되지 않도록 대책을 신속하게 수립·시행해야 한다.



  1. 역학 조사 : 전염병 환자로 의심되는 환자가 있거나 전염병 환자가 실제로 발생하였을 때 전염병의 차단과 확산 방지 등을 목적으로 벌이는 환자 발생 규모 파악, 전염병 발생 원인 규명 등의 조사 활동을 말한다. [본문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