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삶/펼쳐진 문학세계

김동리의 '역마' - 역마살의 운명

앞으로가 2015. 7. 15. 06:10
반응형

이 소설은 역마살, 혹은 당사주唐四柱로 표상되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운명관을 다루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운명에 패배하는 인간의 모습이 아니라, 오히려 그에 순응함으로써 인간 구원과 도달하고자 하는 삶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 삶의 모습을 오늘날 우리의 모습과 비교하면서 작품을 수용해 보자.




이 작품은 '무녀도', '황토기', '바위' 등의 작품과 함께 김동리의 운명론적 문학관을 보여 주는 초기 대표작 중의 하나로, 한국 문학의 고유한 특질과 민족적 특성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려 했던 작가 정신을 엿볼 수 있다.



'역마'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삶은 대부분 자신의 의지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운명적으로 주어진 역마살에 둘러싸여 있다. 성기가 계연과 결혼할 수 없음을 알고 유랑의 길을 떠나는 결말은, 운명을 거스르지 않음으로써 구원에 이르게 된다고 믿는 한국인의 운명관을 드러낸 것이다. 


한편 근대 소설이 소설의 관습으로서 사실성을 내세우는 것과는 달리, 이 작품에서는 인간의 만남과 헤어짐 혹은 인간 관계의 운명이 모두 우연에 의해 처리되고 있다. 이는 작가가 운명의 문제를 사실성의 차원이 아니라, 구경究竟적인 삶의 형식 혹은 초인간적 서의 차원에서 풀어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