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삶/문학이란?

문학의 개인적·공동체적 기능

앞으로가 2015. 6. 16. 02:24
반응형

독자는 문학 작품을 읽음으로써 작가의 개성과 만나게 된다. 독자는 문학 작품 속에 구체적으로 설정된 문제에 대하여 작가와 상상적인 대화를 나누거나, 작가가 지닌 내면 의식과 경험을 공유하면서 간접 체험의 폭을 넓히고 많은 감화를 받는다. 그것은 세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나 인식, 윤리적 성찰과 자기 반성, 심미적 체험 등 여러 영역에 두루 걸쳐 있다. 개인적 차원에서 보면 문학은 독자의 감정을 정화시키고 보다 성숙한 삶으로 독자를 이끌어 준다.


한편, 문학은 공동체의 삶에도 영향을 미친다. 가령, 고대 사회에서 신화·전설·민담이나 서사시와 같은 이야기 문학은 민족의 시원始原이나 고난 극복 등과 같은 기억을 후대에 전해 주었다. 그리하여 개인은 문학을 통해 공동체 문화 속에 흡수되고, 다른 구성원들과 체험을 공유하는 가운데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근대 이후의 사회에서 문학은 공동체 구성원의 정치적 단결을 도모하였다. 



한편, 문학은 하나의 제도라고 볼 수 있다. 제도를 떠나서 원만한 사회적 삶을 영위할 수 없는 것처럼, 문학이라는 제도를 무시하고는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삶을 살아가지 어렵다. 독자들은 문학을 감상하면서 특정의 문학 공동체에 참여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독자는 문학 공동체가 요구하는 고급의 언어를 습득하고 교양을 형성하게 되며, 그 사회가 형성한 가치관과 규범, 혹은 문화와 전통을 내면화하게된다. 그리하여 독자는  문학을 매개로 하여 사회의 지배적 사고 방식을 익히고, 사회적 의사 소통에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민족 문학[각주:1]을 통해서 독자는 민족 공동체의 과거를 되돌아보고 현재를 반성하며 미래를 설계할 수도 있다.


  1. 민족 문학民族文學 : 민족의 생활 감정과 언어·사상 ·환경 등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문학 [본문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