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작품은 6·25 전쟁의 비극적 현실을 극도의 절망감과 허무 의식을 통해 그려 내고 있다. 특히 반어와 역설의 표현 기법을 활용하여, 모든 것을 죽음의 상태로 몰고간 전쟁의 비인간성을 고발하고, 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자기 고발을 시도하고 있다. 작품을 낳은 시대적 환경과 시인의 처지 등을 고려하여, 작품이 지닌 인식적·미적·윤리적 가치를 비판적·창의적으로 수용해 보자. 이 시에서 서정적 자아는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이란 가정법을 활용하여 그것은 '회상과 체험', '고뇌와 저항', '회의와 불안', '단순한 상태의 시체'일뿐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들은 전쟁과 문명이 초래한 파괴와 살육의 현실을 반어적·역설적으로 그려내기 위한 것이다. 서정적 자아의 비판적인 시선은 전쟁으로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