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시시각각 다양한 경제적 선택의 상황에 직면합니다. 여윳돈이 생기면 그것으로 소비할 것인지 저축을 할 것인지, 소비를 한다면 어떤 기준으로 무엇을 살 것인지, 저축을 한다면 어떤 저축 상품을 이용할 것인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런 경제적 선택의 상황에서 후회 없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경제적 소양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개인뿐 아니라 국가도 경제적 선택의 상황을 피할 수 없습니다. 올해 세금을 얼마나 걷을 것인지, 걷은 세금으로 어떤 사업을 우선하여 추진할 것인지, 적자 예산을 편성할 것인지 흑자예산을 편성할 것인지, 적자 예산을 편성할 때는 어떤 방법으로 부족한 재원을 조달할 것인지 등 국가도 여러 가지 경제적 선택을 해야 합니다. 이때 많은 국민이 기본적인 경제적 소양을 갖추고 있다면 국가가 올바른 경제적 선택을 하도록 감시할 수 있습니다.
한편, 우리는 주변의 경제 현상과 뉴스, 신문 기사를 통해 쏟아지는 경제 문제에 대해 궁금한 것도 많습니다. 상품 가격은 어떻게 결정되고 왜 오르고 내리는지, 평일보다 주말 영화 관람료가 비싼 이유가 무엇인지, 채무 불이행을 왜 발생하며 개인의 신용을 잘 관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인플레이션이 생기는 이유가 무엇인지, 실업률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자유 무역 협정은 무엇이고 우리에게 어떤 이득과 손해를 가져오는지 등 헤아릴 수없습니다
여기의 공부에서는 기본적인 경제적 소양을 함양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 현상을 이해하며 당면한 경제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주안점을 두고자 합니다. 이로써 경제 이론과 개념의 틀로 현실 경제를 바라볼 수 있는 눈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