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려 시대의 시가 문학은 고려가요와 경기체가 전 시대의 향가를 대신하여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고려 전기에 발생한 고려가요는 주로 평민 계층의 진솔한 생활 감정을 노래하고 있는데, '청산별곡靑山別曲', '가시리', '서경별곡西京別曲' 등이 대표작이다. 고려가요는 오늘날의 대중 가요처럼 1절·2절·3절로 나뉘어진 분절체分節體 형식이며, 대체로 각 절마다 여음을 갖추고 있다. 이처럼 고려가요는 완숙한 운율 형식과 시 형태를 갖추고 있어 국문 시가의 백미로 꼽힌다.
경기체가는 고려 중엽 이후로부터 조선 초기에 걸쳐 주로 한학자들에 의하여 읊어진 교술적 경향의 시가로서, 고정된 시 형태와 운율을 통해 귀족적 취향과 의식을 표현하고 있다. 고려 후기에 성리학을 수용하며 등장한 사대부 계급은 경기체가의 전통을 이어받아 시조와 가사라는 새로운 갈래를 탄생시킨다. 1
고려가요는 평민들 사이에 구전되어 오다가,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 우리글이 만들어진 후, 성종 때에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등에 문자화되어 전해지게 되었다.
- 경기체가 : 노래 말미에 반드시 "경景긔 엇더하니잇고" 또는 "景畿可如"라는 구句를 붙이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본문으로]
반응형
'문학과 삶 > 펼쳐진 문학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물의 행적을 글로 쓴 전傳 - 인물전, 탁전託傳, 가전체假傳體 (0) | 2016.02.28 |
---|---|
고려 시대 서사 문학의 본격화 (0) | 2016.02.19 |
고려 시대 문화의 이원화 현상 (0) | 2016.01.14 |
고려 시대에는 왜 열녀문이 없을까? (0) | 2015.12.27 |
대동강에는 지금도 이별의 눈물이 흐르고 있을까? (0) | 20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