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학과 삶/문학 받아들이기 49

'엄마의 말뚝 1' 이해하기 - 박완서

이 작품은 남편을 잃은 한 어머니가 고향을 떠나 어린 오누이와 함께 대처인 서울에 올라와서 억척과 의지로 집 한 채를 마련하기까지의 과정을 여덟 살짜리 어린 딸의 눈을 통해 그리고 있다. 표현 기법과 주제의 관계에 유의하면서 작품을 살펴보자. 작품의 줄거리 어머니는 내가 어릴 적에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으로 아버지를 여의고, 오빠의 교육을 구실로 서울로 떠났다. 나도 엄마의 손에 이끌려 서울에 오게 되었다. 이 때에 어머니의 의식을 지배했던 것은 내가 신여성이 되어야 한다는 사명감 같은 것이었다. 인왕산 기슭의 현저동 산동네 셋방에서 엄마는 삯바느질을 해 가며 오빠와 나를 키웠다. 사대문 안에서 남부럽지 않게 살 날을 기대하면서 오빠를 신앙에 가까운 믿음으로 뒷바라지 했다. 그러던 중 인왕산 기슭 달동네..

이병기의 '난초' - 현대 시조의 형식

이 작품은 우리 나라의 대표적 정형시인 고시조를 현대적으로 변형한 현대 시조이다. 정형적인 율격과 구성을 갖춘 시조의 갈래적 특징은 작품의 미적 구조와 주제 구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고시조와 현대 시조의 차이점을 고려하여, 이 작품의 내용·형식·표현 사이의 상호 관계를 이해하도록 하자. 시조의 형식을 빌려 난초가 지닌 청아한 모습과 고결한 성품을 예찬함으로써 자신이 지향하는 선비적인 삶의 자세를 제시하고 있다. 일상어로 이루어져 있는 표현들이 차분하고 정제되어 있다는 느낌을 주는 것은 시조라는 문학적 갈래의 형식과 관련이 깊다. 이 작품에서 시조라는 문학 작품의 갈래는 문학 작품의 미적 구조를 결정짓는 요인들 중의 하나로 작용하면서 문학 작품의 주제 구성도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문학 작품의 갈래적 특..

유치환의 생명의 서書 - 생명 의식의 궁극

이 작품은 '생명 의식'을 노래하고 있는 시이다. 이 시에서 서정적 자아가 내세우는 '생명 의식'이 궁극적으로 어떤 것인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주제를 파악해 보자. 특히, 사상 전개를 중심으로 이 시의 미적 구조의 특성을 살펴보고, 작품의 미적 구조가 주제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도록 하자. 시상 전개 제1연 : 인생의 본질에 대한 문제 제기제2연 : 극한 상황에서의 생명의 본질 추구제3연 : 생명의 본연성과 구원 추구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해서 사람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그 해답을 찾고자 했다. 이 시의 서정적 자아 또한 본연의 '생명'에 도달하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그리하여 생명 탐구에 대한 결연한 의지가 이 작품의 주제를 이룬다. 이러한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

주체·구조·맥락의 상호 작용에 의한 주제 구성

문학 작품의 주제란 인식적·정의적·심미적 측면에서 문학 작품이 지니고 있는 모든 의도와 효과를 총칭하는 말이다. 즉, 문학 작품의 주제는 작가가 작품을 통해서 가장 소중하게 내세우는 그 무엇이자 동시에 작품이 독자에게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그 무엇에 해당된다. 문학 작품의 주제는 창작 주체와 수용 주체, 작품의 구조, 문학 작품이 소통되는 맥락 등이 상호 작용하는 가운데 구성된다. 문학의 수용과 창작에서 문학 작품의 주제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그것은 문학 작품을 매개로 하여 작가와 독자가 이끌어 낸 일종의 합의점과도 같다. 일상적인 의사 소통에서도 그렇듯이, 작가와독자는 문학 작품을 매개로 하여 서로의 입장을 지속적으로 조율해 나간다. 작가는 문학 작품을 통해서 자신의 의사를 독자에게 전달하고,..

내용·형식·표현의 긴밀한 관계

문학 작품의 수용과 창작에서 작품의 내용·형식·표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작가는 하나의 작품을 완결된 존재로 만들어 나가며, 독자는 작품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하게 된다. 이제 문학 작품에서 내용·형식·표현의 구성 요소들이 맺고 있는 긴밀한 관계를 살펴보자. '내용'이란 문학 작품이 담고 있는 그 '무엇'을 가리킨다. 그것은 구체적인 사물에 관련된 것일 수 있으며, 인간의 삶과 관련된 것일 수도 있다. 작가는 이러한 문학 작품의 내용을 통해서 자신의 사상이나 감정을 드러내며, 수용자는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문학 작품의 주제를 파악하게 된다. 그러나 문학 작품에서 내용은 그 자체만으로는 드러날 수 없다. 그것은 언제나 언어를 사용하고, 재료를 조직하는 특정한..

미적 구조의 다양성

문학 작품의 미적 구조란 문학 작품이 가지고 있는 치밀하면서도 유기적으로 완성된 내부 질서와 조직을 가리킨다. 이러한 미적 구조는 매 작품마다 단일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그것은 문학의 갈래, 창작 주체의 개성, 문화적 배경 등이 상호 작용하는 가운데 형성되기 때문에 작품마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문학의 갈래는 특정한 규칙과 관습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갈래에 속하는 작품들은 그 내부 질서와 조직에서 공통점을 보이기 마련이다. 이를테면 시조에 속하는 작품들은 그 대부분이 초·중·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리듬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갈래에 속하는 문학 작품들은 서로 다른 미적 구조를 지닐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해서 동일한 갈래에 속하는 작품이 반드시 동일한 미적 구조를 지니는 것..

문학 창작의 단계로 진입하기 위한 꼭 이해해야 할 문학 작품 원리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스스로 문학 작품을 창작하려면 우선적으로 문학 작품과 관련된 여러 가지 원리들을 잘 이해해야 한다. 그렇다면, 문학의 수용과 창작 과정에서 꼭 이해해야만 하는 원리는 무엇일까? 첫째는 문학 작품의 미적 구조가 갈래와 작가, 문화적 배경 등에 따라 다양하다는 것이고, 둘째는 문학 작품의 내용·형식·표현이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며, 셋째는 작품의 주제가 주체·구조·맥락의 상호 작용을 통해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제 이와 같은 문학 작품의 원리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

우리 나라 소설들 이름에서 드러나는 의미들

* '흥부'와 '놀부' 고전 소설 '흥부전'의 형제 이름. 흥부는 흥하고 복받는 인물, 놀부는 놀고 먹는 인물--> 성격의 직접적인 제시. * '심청(沈靑)고전 소설 '심청전'의 주인공. 심청은 '깊은[沈] 바다[靑]'라는 뜻.--> 운명을 암시. * '삸 '김동인의 소설 '붉은 산'의 주인공 이름. '삸'은 살쾡이의 준말.--> 인상적 제시. * '화수분'전영태의 소설 '화수분'의 주인공 행랑아범의 이름. '화수분'이란 재물이 자꾸 생겨 아무리 써도 줄지 않는 보물단지라는 뜻.--> 반어적 제시.

문학을 감상하고 대하는 수용의 자세

문학 활동은 인간의 대화 행위와 유사하다. 서로 다른 입장, 가치관, 이해 관계를 가진 사람들이 대화를 통해서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고, 상대방을 이해하며, 감정을 교류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문학 활동 또한 문학 작품을 매개로 창작자와 수용자가 대화를 나누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문학 활동의 중심에는 문학 작품이 놓여 있다. 인간은 희로애락의 감정, 더 나아가 그러한 것을 가져다 준 사회·자연·우주를 언어롤 통해 예술적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문학 작품을 읽을 때에는 하얀 종이 위에 박힌 활자의 흔적만을 보아서는 안 된다. 우리는 그 활자의 흔적에 아로새겨져 있는 작가의 고뇌와 열정까지도 느낄 수 있어야 하며, 또한 그러한 고뇌와 열정을 자신의 삶으로 재현시킬 수도 있어야 한다. 문학 작풍을 수용하는 일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