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움직임과 삶/움직임 예술33

살풀이춤의 표현 동작 살풀이는 액운을 피하고 건강하고 화평한 삶을 기원하는 종교적 행사인 굿에서 유래하였다. 기본 동작을 바탕으로 춤을 추는 사람마다 개성 있게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2015. 5. 12.
봉산 탈춤의 표현 동작 탈춤은 원시 사회에서 악귀를 쫓는 주술에서 시작되어 지배층의 부도덕성이나 파계승의 위선 등을 해학적으로 표현하면서 대중의 불만을 해소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서해안 지방을 중심으로 발달한 봉산 탈춤을 알아 보자. 2015. 5. 6.
처용무의 표현 동작 처용무는 신라 말기 처용 신화의 내용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1100여 년을 이어 온 전통 무용이다. 처용이라는 용신의 아들 가면을 쓰고 질병을 몰아내는 처용무를 추어 보자. 2015. 5. 2.
한국 무용의 특성과 종류 움직임의 예술적 표현 방법에는 한국 무용, 발레, 현대 무용, 댄스 스포츠, 창작 운동 등이 있다. 자신에게 적합한 표현 활동을 선택하여 기본적인 표현 동작을 익혀 아름다움을 표현해 보기로 한다. 움직임이 아름답고 활기차며 부드러운 한국 무용의 특성과 종류를 알고, 표현방법을 익혀 자신의 느낌을 표출해 보자. 1. 한국 무용의 특성 우리 민족의 독특한 생활 감정이나 풍속이 담겨 있으며, 우리 민족의 문화를 반영한다.무용의 표현 동작이 소박하고 단순하며 경쾌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익혀 즐길 수 있다.언어의 사투리와 같이 같은 춤이라도 지방마다 독특한 표현 방법과 동작 구성을 지니고 있으며, 추는 사람마다 춤의 개성이 다르다. 2. 한국 무용의 종류 한국 무용에는 우리 민족의 전통문.. 2015. 4. 25.
움직임 구성 형식을 고려한 창작 움직임 예술은 움직임의 공간적 구성 형식과 시간적 구성 형식의 요소들을 변화시킴으로써 새로운 내용으로 창조할 수 있다. 움직임의 공간적 구성 형식 표현의 느낌은 신체 표현을 하는 사람의 위치나 동작을 공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달라진다. 움직임의 공간적 구성 형식에는 균형, 통일, 조화, 대조 등이 있다. 움직임의 시간적 구성 형식 표현의 느낌은 신체의 움직임 동작들을 시간적인 흐름에 따라 각기 다른 순서로 연결함으로써 크게 달라진다. 움직임의 시간적 구성 형식에는 2부와 3부 형식, 론도 형식, 이야기 형식, 카논 형식 등이 있다. 2015. 4. 19.
움직임 예술과 창작의 관계 움직임 예술은 신체, 공간, 시간, 에너지, 흐름, 관계 등의 움직임 요소를 변화시킴으로써 끊임없이 새롭게 창조된다. 신체 요소 신체 각 부위의 움직임은 표현을 통해 전달되는 느낌에 영향을 미친다. 예들 들어 머리의 움직임은 환희, 무아지경, 비애 등의 정신과 지성을 나타내며, 가슴 부분의 움직임은 의욕과 노력 등의 의지나 의기소침, 나태함 등을 상징한다. 공간 요소 신체의 움직임이 차지하는 공간의 범위, 위치, 크기 높낮이, 방향, 경로 초점 등이 달라지면 전달되는 느낌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같이 움직이는 모둠이 원형으로 대형을 구성하면 화목, 원만함 등을 나타내며, 모둠이 곧은 직선으로 대형을 바꾸면 흐름, 무한함 등의 느낌을 준다. 여러 사람이 모여 움직임을 같이하면 단결, 친밀, 강함 등의 느낌.. 2015.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