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우위3 무역을 통해 소비 가능 영역이 확대되어 무역 이익이 생긴다 비교 우위의 재화에 특화하여 무역을 하면 각 국가 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재화를 소비할 수 있다. 즉, 각국이 소비할 수 있는 영역이 확대된다. 무역에 참여한 나라들이 얻을 수 있는 경제적인 이익을 앞에서 공부한 생산 가능 곡선을 사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앞의 갑국과 을국의 예에서 무역이 이루어지기 전 갑국의 생산 가능 곡선 선분 AB위의 한 점인 F를 선택하여 생산과 소비를 하고 있다. 그런데 갑국이 비교 우위를가지는 옷에 특화하여 생산하면 A점, 즉 옷 50벌을 생산하게 된다. 갑국이 옷 20벌과 꿀 30병을 교환한다는 교역 조건을 따르기로 하였을 때 옷 50벌을 생산하여 이를 모두 수출한다면 75병의 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이것은 B' 점을 소비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 2015. 4. 27. 국가 간 경제 여건의 차이에 따라 비교 우위가 달라진다 각 나라 간 비교 우위가 나타나는 까닭은 국가 간의 경제 여건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나라마다 보유한 생산 요소(토지, 노동, 자본 등)의 많고 적음이나 가지고 있는 기술 수준, 기후 등의 차이가 각 나라의 비교 우위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우선 나라마다 풍부한 부존자원이 다르므로 노동이 풍부한 나라는 노동 집약적인 상품을 더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있고, 자본이 풍부한 나라는 자본 집약적인 상품을 더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각 나라의 기술 수준의 차이도 비교 우위에 영향을 미친다. 기술이 풍부한 나라는 기술 집약적인 상품을 더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한 상품을 오랫동안 생산해 왔기 때문에 더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경우도 있다. 어떤 상품을 오랜 기간 생산해 오면서 경험적으로.. 2015. 4. 19. 무역은 비교 우위의 원리에 따라 이루어진다 비교 우위는 다른 나라에 비해 더 작은 기회비용으로 재화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한 나라에서 어떤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 포기하는 재화의 양이 다른 나라보다 적다면 비교 우위가 있는 것이다. 비교 우위는 경제적 능력이 서로 다른 국가 간에 무역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 주는 원리이다. 각 나라가 자국에 비교 우위가 있는 재화를 특화 생산하여 무역을 하면 서로 이득을 얻기 때문이다. 위의 표에서 갑국은 옷을 상대적으로 더 작은 기회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옷에, 을국은 꿀을 상대적으로 더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으므로 꿀에 비교 우위를 갖는다. 이때, 갑국과 을국이 각각 비교 우위를 갖는 옷과 꿀을 생산하여 무역을 하게 되면 어떠한 변화가 나타날지 무역 이전과 무역 이후를 비교해 보자. 무역 이전.. 2015. 4.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