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속미인곡'은 '사미인곡'의 속편으로 임금을 사모하는 마음을 대화 형식으로 노래한 것이다. 특히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구사하고 있으며, 문학성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작품을 통해 전통 시가 문학의 한 갈래인 가사의 형식적 원리와 미 의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와 함께 한국 문학이 갖추어야 할 요건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고려 말에 발생한 가사歌辭의 초기 작품은 유교적 덕목을 토로하거나, 자연에 접촉하여 느끼는 서정을 표현한 것이 많다. 이 작품은 '사미인곡'의 속편으로 임금님을 사모하는마음을 노래하였다. 그러나 '사미인곡'이 한자어를 비교적 많이 사용하여 표현한 반면, '속미인곡'은 자신의 생활과 감정을 주로 우리말을 사용하여 소박하고 진실하게 표현하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이 작품은 연군戀君의 마음을 임과 이별한 여인의 애달픈 심정에 비유하였는데, 두 여인을 등장시켜 대화체로 진행하고 있다. 두 화자를 편의상 갑녀, 을녀라고 할 때, 갑녀는 작품의 전개와 종결을 위한 기능적 역할을 하고, 을녀는 주제 구현의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다.
반응형
'문학과 삶 > 펼쳐진 문학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리데기 - 전통 무속 오구굿 (0) | 2015.05.23 |
---|---|
사미인곡思美人曲의 간절한 충정 (0) | 2015.05.14 |
이별의 정한情恨을 형상화한 '가시리' (0) | 2015.04.24 |
한국 문학의 미의식 - 멋, 한, 신명, 해학과 풍자, 한풀이 의식, 자연 친화 의식 (0) | 2015.04.15 |
한국 문학의 갈래 - 서정, 서사, 극, 교술 문학 (0) | 201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