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삶/금융이란

실질 이자율은 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이자율

by 앞으로가 2015. 5. 5.
반응형

이자율은 물가의 변동을 고려하는지에 따라 명목 이자율과 실질 이자율로도 구분된다. 물가 상승이나 물가 하락을 고려하지 않은 이자율을 명목 이자율이라고 한다. 우리가 지금까지 예로 든 이자율은 모두 물가 변동에 따른 구매력의 변화를 생각하지 않은 명목 이자율이다. 이와는 달리, 실질 이자율이란 물가 변동을 고려한 이자율이다. 


앞의 예에서 100만 원을 1년 동안 예금할 때의 연간 이자율 5%는 명목 이자욜이다. 그런데 만일 예금을 한 1년 사이에 물가가 3% 상승했다면, 현재와 1년 후 100만 원의 구매력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어떤 재화의 가격이 현재 10만 원이라면 100만 원의 현재 구매력은 이 재화 10개와 같다. 1년 후에는 연이율 5%인 예금에 저축한 100만 원이 105만 원이 되고 물건 값 10만 원은 물가가 3% 상승하여 10만 3,000원이 되므로, 1년 후 100만 원의 구매력은 이 재화 10개보다 많아진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이 5%로 높아지면 100만 원의 현재 구매력과 1년 후의 구매력은 같아진다. 인플레이션율이 명목 이자율 수준인 5%를 넘어가는 경우 1년 후의 구매력은 현재보다 작아질 것이다. 


따라서 가계가 예금을 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기업이 투자를 할 때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명목 이자율 그 자체가 아니라 명목 이자율에서 물가 상승률을 뺀 실질 이자율이다. 예금주가 받게 되는 이자 소득의 실질 가치, 즉 이자 소득의 구매력은 실질 이자율에 의존하므로 물가 상승률이 낮을수록 커지고, 물가 상승률이 높을수록 작아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