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학과 삶/문학과 문화 49

인접 예술이 문학에 미치는 영향

문학, 음악, 미술, 연극과 영화. 이 예술들은 표현 매체나 예술적 관습에 있어서는 각각 다르지만,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한다는 면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이들은 심미적 가치를 중시하고, 한 사회의 문화 구성원들이 함께 공유하면서 소통할 수 있는 문화의 장을 형성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문학과 그 인접 예술들은 창작과 수용의 과정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인접 예술의 표현 기법이나 양식에 영향을 받아 참신한 표현이 말들어지거나, 심지어 문학의 관습과 전통, 문학에 대한 관념까지도 새롭게 바뀌는 경우도 있다. 1920~30년대에 형성된 초현실주의 사조의 경우가 그러하다. 유럽 초현실주의는 서로 다른 예술에 종사하는 예술가들이 교류하면서, 사상·예술관·기법 등에 서로 영향을 주어 형성..

정약용의 '이노행'

이 작품에서는 쥐와 고양이를 소재로 하여 관리들의 부패와 이를 바로잡으려는 고위층 관리의 모순과 그 폐해를 풍자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봉건적 수탈에 의해 황폐해 가는 민중 생활을 포착하고 그 구조적 모순을 폭로한 작가 의식의 소산이다. 이 작품을 통해 작가는 봉건적 국가 구조의 총체적인 부패를 우회적으로 공격하고 있다.

'구렁이'의 출현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윤흥길의 '장마' 이 작품은 혈연의 끈과 이데올로기의 대립이 얽힌 집안 간의 갈등과 화해를 보여 주고 있다. 6·25전쟁으로 인해 조장된 두 집안의 반목이 토착적인 무속적 사고에 의해 극복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무당이 삼촌의 귀환을 예언한 날 찾아온 구렁이는 전래적인 무속의 세계관에서는 죽은 자의 현신現身을 의미한다. 즉, 이념의 배타성이 토착적인 무속 신앙의 융합력에 의해 소멸된다는 쪽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우리 사회의 여성 문제와 문학

문학은 시대와 함께 호흡하는 작가에 의해 창조되므로 거의 모든 문학 작품 속에 당대의 사회 현실이 반영되어 있다. 사회 현실이나 모습이 작품에 어떻게 형상회되어 있는가를 찾아보며 작품을 수용해야 한다. 다음 자료들에 나타난 여성의 모습을 통해 우리 사회의 여성 문제가 문학에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 알아보자. 이 영화는 여성을 억압하는 가정 폭력과 사회적 편견을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통쾌한 웃음을 자아내고 있다.

황지우의 '서벌··· 서울, SEOUL'

황지우의 시는 형식과 내용에서 전통적 시와는 전혀 다르다. 기호, 만화, 사진, 다양한 서체 등을 사용하여 시 형태를 파괴하고 있다. 이러한 '시 형태 파괴'는 그의 시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황지우의 시에는 정치성, 종교성, 일상성이 골고루 들어 있고, 서정적 자아의 자기 부정을 통해 독자들에게 호탕하면서도 편안한 느낌을 준다. 다음 황지우의 시를 읽고, 작품의 배경이 되고 있는 1980년대의 경제 환경이나 정치적 상황들이 작품 속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자.

문학과 사회·문화적 현상의 바람직한 관계

오늘날 한국 문학은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새로운 사회·문화 현상들을 문학 작품 속에 담아 내고 있다. 생태주의, 페미니즘, 포스트 모더니즘 등 현대의 다양한 사회·문화 사조가 문학 속에 표출되고 있다. 또한 컴퓨터나 인터넷의 도움으로 사회적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는 디지털 문명, 과학 기술의 발전과 접맥된 다양한 영상 매체 환경 등은 문학의 수용과 창작에 영향을 미칠 뿐만아 니라. 문학의 내용과 형식에도 큰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흔히 문학은 한 시대의 사회·문화의 나침반이라고 한다. 이는 문학이 그 사회·문화의 제반 경향을 민감하게 비추는 거울이자, 그 사회·문화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문학 활동을 통해 사회·문화적 현상을 폭넓게 분석하고 비판하..

문학이 반영하는 사회·문화적 현상

문학은 인간의 삶을 다루기 때문에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 현상과 밀접한 관련을 맺게 된다. 때로는 그 시대의 사회·문화 풍속이 그려지기도 하고, 그 시대의 사회 구성원들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사회·문화의 미래상이 제시되기도 한다. 이러한 모습은 대중 사회의 일상적 현실이나 대중의 꿈과 희망을 그린 1970~80년대의 대중 소설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문학이 반영하는 한 시대의 사회·문화적 현상에는 여러 관점이 있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보면, 그 시대의 역사적 체험과 관련된 정치·경제적 현상, 문화적 환경, 이데올로기 등이 문학 속에 투영될 수 있다. 채만식의 '태평천하'에서 그 시대를 풍미한 사회주의 사상의 일면이 다루어진 것이나, 전후 문학에서 전쟁 직후에 만연한 전쟁 혐오증과 인간 옹호 사상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