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삶/경제의 주체47

인간은 왜 일을 할까? 직업이라는 것은 각각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그런 점에서 직업을 단순히 돈벌이 수단이라고 할 수만은 없어요. 직업에는 존재의 가치가 담겨 있거든요. 노동을 단지 보수를 받으려고 물건을 만들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고만 볼 수가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어요. 노동은 자기만의 삶보다 훨씬 큰 또 다른 삶에 발을 담그는 것이지요. 노동 속에서 우리의 행위는 다른 사람의 행위와 연결되어 있고, 노동이 이루어지는 장소도 항상 다른 지역, 다른 나라, 다른 대륙에 있는 장소와 연결되어 있어요. 노동은 사람들을 같은 공동체에 속하게 만들어 서로 관계를 맺게 하지요. 일을 끝내고 같이 술 한잔 하거나 쉬는 시간에 이야기를 주고받는 것, 이것은 단순히 휴식을 취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아요. 서로 얼마나 긴밀하게 연.. 2015. 4. 22.
가계가 제공하는 생산 요소는 소득의 원천이 된다 가계는 기업에 노동, 자본, 토지 등의 생산 요소를 제공하고 소득을 얻는다. 기업은 노동 시장에서 가계가 제공한 노동을 구매하고 그 대가로 가계에 임금을 지불하며, 토지를 임대하여 토지를 포함한 자연 자원을 사용하는 대가로 지대를 지불한다. 또한, 기업은 건물, 기계 등의 물적 자본을 구입하기 위해 금융 시장을 통해 가계가 저축한 돈을 빌리고, 그 대가로 이자를 지불한다. 가계의 소득은 가계가 제공하는 생산 요소의 종류와 질에 따라 달라진다. 임금, 이자, 지대 등 다양한 형태의 소득 원천을 가진 가계가 그렇지 못한 가계보다 소득이 높으며, 동일한 노동의 양을 제공하더라도 노동의 질이 우수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소득이 높다. 2015. 4. 13.
자본 개념의 확대 : 물적 자본에서 사회적 자본으로 · 물적 자본 기계, 부품, 공장처럼 생산에 필요한 도구를 말한다. · 사회적 자본 사회 구성원들이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회적 특성으로, 개인 간의 협력적인 사회 연결망, 상호 신뢰의 규범 등이 있다. · 지식 자본 특허, 상표, 디자인, 기술 등과 같이 기업과 상품의 가치를 높여 주는 무형의 자산을 의미한다. 기업가 정신과 혁신을 바탕으로 정보 및 지식에서 창출된다고 해서 지적 재산이라고도 불린다. 2015. 4. 5.
가계는 생산 요소의 공급자이다 가계는 상품의 수요자일 뿐 아니라, 생산 요소의 공급자이기도 하다. 가계는 노동, 자본, 자연 자원 등의 생산 요소를 기업에 제공한 대가로 소득을 얻고, 기업은 생산 요소를 결합해서 상품을 생산한다. 일반적으로 노동은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제반 활동을 일컫는다. 그런데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활동이 모두 노동은 아니다. 노동시장에서 고용의 대상이 되는 노동은 타인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공되며 그 대가로 소득을 얻는 노동을 말한다. 최근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노동력은 창의성과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교육 훈련이 필요하다는 의미에서 인적 자본이라고도 부른다. 자본이란 공장, 기계 등과 같이 인간이 만들어 낸 물적 생산 요소를 의미한다. 그런데 일상에서 자본은 물적 자원보다는 오히려.. 2015. 3. 26.
가계는 상품의 수요자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경제생활을 하며 살아간다. 일반적으로 경제생활은 생산, 소비 및 분배 등의 경제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소비 활동을 담당하는 경제 주체를 가계라고 부른다. 사람들은 왜 소비를 할까? 배가 고플 때 밥을 먹고, 예쁜 옷을 사 입으며 사람들은 만족감을 얻는다. 이처럼 소비자인 가계가 상품의 소비를 통해 얻는 만족감을 효용이라 하는데, 소비자는 소비를 통해 효용을 얻기를 원한다. 2015.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