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삶/국제 경제47

환율 변동은 국가 경제에 영향을 준다 환율 변동은 한 나라의 수출과 수입에 영향을 준다. 환율이 상승하면 해외 시장에서 우리나라 상품의 수출 가격이 하락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수출 가격이 하락하면 상품 수출에 유리하여 수출이 증가한다. 또한, 환율이 상승하면 국내 시장에 수입되는 외국 상품의 수입 가격이 오르기 때문에 수입이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이 감소하며 반대로 환율이 하락하면 수출이 감소하고 수입이 증가할 가능성이 커진다. 환율 변동이 물가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환율이 상승하면 해외에서 수입하는 원자재 및 부품 가격이 오르기 때문에 원자재 및 부품을 수입에 의존하는 기업일수록 생산비가 증가한다. 생산비 증가는 결국 상품 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져 전박적으로 국내 물가를 상승.. 2015. 10. 21.
국내외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환율이 변한다 국내 경제 여건의 변화가 환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내 물가가 상승하면 전반적으로우리나라 수출 상품의 가격이 올라간다. 일반적으로 수출 상품의 가격이 올라가면 수출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수출 대금으로 들어오는 달러화의 공급도 감소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국내 물가의 상승은 상대적으로 더 저렴해진 외국 상품의 수입을 증가시키고, 수입 상품의 대금을 지불하기 위해서 달러화의 수요도 증가한다. 결국, 달러화의 수요 증가와 공급 감소가 동시에 나타나 환율은 상승한다. 해외 요인에 따라서도 환율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국인 미국이 심한 경제 침체를 겪는다면, 이 여파로 미국 사람들의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소비 지출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 역시 큰 타.. 2015. 10. 11.
빅맥 지수 계산하기 영국의 경제 전문지 "The Economist"는 매년 전 세계적으로 판매되는 맥도날드의 빅맥 가격을 사용하여 환율을 계산해 발표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10년 7월 현재 미국과 한국의 빅맥 가격이 각각 3.73달러와 3,400원이라면 한국의 빅맥 가격을 미국의 빅맥 가격으로 나눈 값, 즉 '911월/달러'로 환율을 계산한다. 이것은 각 나라에서 판매되는 빅맥은 같은 가치를 갖는다는 가정, 즉 '3.73달러=3,400원'이라는 가정하에 계산된 것이다. 우리나라의 빅맥 지수(즉, 빅맥 가격으로 예측한 환율)와 실제 환율을 비교해 보면, 실제 환율이 빅맥 지수보다 원화의 가치가 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15. 9. 29.
환율은 외환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환율은 원화로 표시한 다른 나라 화폐의 가격이다. 어떤 상품의 가격이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것처럼 외국 화폐의 가격인 환율 역시 외환 시장에서 외국 화폐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는 대표적이 기축 통화인 미국 달러화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중심으로 달러 환율이 결정되는 과정을 살펴보자. 미국으로부터 재화와 서비스를 수입하거나 미국의 자산을 구입하려는 사람이 달러화에 대한 수요자가 된다. 예를 들어, 미국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수입하거나 미국에 새로 자동차 공장을 건설하려면 미국 달러화가 필요하다. 이때 수입업자나 해외 투자자는 외환 시장에서 달러화를 사려고 하므로, 달러화에 대한 수요가 발생한다. 반대로 미국 기업이 우리나라 반도체를 수입하거나 우리 기업의 주식을 구입하려면.. 2015. 9. 19.
유망 직업으로 분류된 외환 딜러 매년 미래의 유망 직업이나 직업 선호도 조사에서 항상 수위를 차지하는 직업 중의 하나가 바로 외환 딜러이다. 외환 딜러는 돈을 주고 외국 화폐나 각종 금융 상품을 싸게 사서 그보다 비싸게 되파는 사람이다. 흔히 외환 딜러들은 '0.1초의 승부사'로 불리기도 하는데, 외국 화폐가 거래되는무형의 시장인 외환 시장에서 외환 시세에 따라 가능한 싸게 외국 화폐를 사들여 비싸게 팔아 그 차익을 얻기 때문이다. 환율의 변동을 예측하여 손실은 최소화하고 이익은 극대화하는 것이 바로 외환 딜러들이 하는 일이다. 기업체의 국제 금융부나 외화 자금실 등에서 근무하는 외환 딜러들은 기업의 국제 거래를 통해 남은 외국 화폐를 사거나 파는 업무를 주로 담당한다. - 고용노동부, "한국 직업 전망서" - 2015. 9. 10.
환율을 결정하는 제도는 다양하다 환율 제도는 크게 고정 환율 제도와 변동 환율 제도로 구분한다. 고정 환율 제도는 정부가 환율을 일정 수준으로 정해 놓고 외환 시장에 개입하여 이 환율을 유지하려는 제도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각국 화폐와 금의 교환 비율을 고정해서 환율을 유지하려고 했던 금 본위 제도가 대표적인 고정 환율 제도이다. 변동 환율 제도는 정부가 외환 시장에 전혀 개입하지 않고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환율이 자유롭게 결정되도록 하는 제도이다. 고정 환율 제도는 환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환율 변동으로 나타날 수 있는 위험이 적어 국제 거래를 촉진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환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국제 수지의 불균형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도 이를 개선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변동 환율 제도는 국제 수지의 .. 2015.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