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학과 삶/문학이란? 47

최서해의 '홍염' - 신경향파 소설

이 작품은 간도에서 우리 민족이 겪은 수난과 갈등을 다루고 있다. 작가의 만주 체험과 궁핍했던 생활을 바탕으로 쓰여진 이 작품에서 작가는 소재의 선택과 갈등의 해결 방법을 통해 자신의 가치관을 드러내고 있다. 훨훨 타오르는 불꽃은 사회의 모순에 대한 작가의 분노와 강렬한 항거를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다. 신경향파 소설의 특징 신경향파 문학은 빈궁과 고뇌의 생활상을 자연주의적 수법으로 그려 냄으로써, 빈궁과 고뇌의 생활 상태에 빠진 사람들에게 투쟁 의식과 반항 의식을 심어 주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신경향파 문학의 첫째, 소재를 궁핍한 데서 찾았으며, 둘째, 지주 대對 소작인 또는 공장주 대對 노동자의 대립을 중심 플롯plot으로 삼았으며, 셋째, 대부분의 결말이 살인 방화로 마무리되는 구조적인 특성을..

윤동주의 '쉽게 씌어진 시' - 현실적 자아와 반성적 자아

이 시는 윤동주가 일본에 유학할 때 쓴 시로, '부끄러움'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그 부끄러움은 학문과 현실 사이의 괴리감, 시를 쓰는 자신과 시 사이의 거리감 등에서 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서정적 자아는 소외 의식과 내적 갈등을 일으키지만, 차분하게 자기를 반성하는 어조의 시 창작을 통해 극복의 의지를 되살리고 있다. 이 시에서 현실적 자아는 우울하고 무기력한 삶을 살아가는 '나'이고, 반성적 자아는 삶을 반성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나'이다.

바람직한 문학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

한 민족의 왕성한 문학 활동이 문화적으로 가치를 지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문학 활동이 그 민족의 언어 활동과 예술 행위, 그리고 공동체적 가치 지향의 정수를 담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화적 행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문학 활동이 왕성하게 이루어질 때, 그 민족의 문화는 찬란하게 꽃을 피울 수 있다. 바람직한 문학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음 몇 가지 사항에 유의해야 한다. 첫째, 문학 활동은 소수의 선택받은 사람이 즐기는 특별한 활동이라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문학 활동은 특별한 지식이나 전문적인 교육이 없더라도 누구나 일상의 삶 속에서 줄길 수 있다. 둘째, 문학 활동의 실용적 가치에 연연하지 말아야 한다. 그것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심미적 가치 그 자체만으로도 문학 활동은 충분히 ..

문학 활동의 다양한 가치

문학이라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범한 작가나 시인이 남긴 고전古典을 떠올린다. 고전적인 문학 작품이 인류의 문화적·예술적 유산으로서 절대적인 가치를 지니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러한 작품만을 문학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문학은 인간의 일상적 현실 속에서 일상의 언어와 함께 존재한다. 또한 문학은 작품 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이루어지는 각종의 문학 활동 속에 존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문학 활동이란 문학 작품을 쓰거나 읽는 행위뿐만 아니라, 그러한 행위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심미적 체험까지 모두 포함한다. 인간은 문학 활동을 통해 자신이 속한 세계를 해석하고 평가하며, 또 자신의 관점에서 이에 반응한다. 따라서 문학 활동은 인간의 인간됨을 증명하고 ..

문학 작품이 담고 있는 가치를 파악하기 위한 전략

문학은 가치의 산물인 까닭에 문학 작품을 심도 깊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가가 추구하는 가치의 실체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흔히 문학 작품을 읽을 때, 작품의 배경이 되는 작가의 철학과 사상, 작품을 낳은 역사적·사회적 배경, 작품에 담긴 세계관과 인간형에 관심을 둔다. 이는 문학 작품이 추구하는 가치를 제대로 분석하고 비판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박지원의 소설 '허생전'을 읽는다고 생각해 보자. 이 작품을 가치의 산물로 간주한다면 다음 몇 가지 사항을 꼼꼼하게 살펴보아야 한다. 우선, 허생전이 창작된 조선 후기의 사회·역사적 배경, 즉 상공업의 발달, 신분 제도의 동요, 인재 등용 제도 등을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허생이란 인물의 말과 행동에서 드러난 현실 비판 의식과 세계관, 더 나아가 이..

가치 산물로서의 문학

인간의 사고 행위와 의사 소통은 언어를 매개로 이루어진다. 언어 행위speech act에는 말하는 사람은 물론, 그 사회의 고유한 감성·문화·이데올로기가 반영되며, 인간이 지향하는 가치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문학은 언어의 가치 지향적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문화 영역이다. 문학이 형상화하는 인간의 경험과 미적 판단은 언어라는 표현 매체를 빌려야 하기 때문이다. 문학은 인간이 지향하는 가치의 산물이다. 대부분의 문학 작품은 인간과 사물, 세계에 대한 작가의 가치 판단과 가치 지향을 담고 있다. 주관적인 정서를 배제하고 사물을 즉물적으로 묘사하는 시에서도 사물에 대한 시인의 가치 판단과 가치 지향을 찾아낼 수 있다. 서사 문학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작가가 등장시키는 등장 인물의 인간형, 등장 인물 간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