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와 삶288 1990년대와 2000년대 두 차례의 위기를 겪은 후, 경제 성장 잠재력이 낮아지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그동안 누적되어 온 기업과 금융 기관의 부실 문제가 불거졌다. 한쪽에서는 국민 소득이 1만 달러를 넘어섰다고 샴페인을 터뜨렸지만, 다른 쪽에서는 기업의 채무 상환 능력이 취약해진 생태였고, 금융 기관은 부실해진 기업의 문제를 그대로 떠안게 되었다. 그러던 중 타이에서 시작된 외환 위기가 1997년 말 우리나라에 번지면서 지난 20여 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고 실업률도 높아지는 등 경제적 시련을 겪었다. 그 시기를 거치는 동안 국내 경제 상황은 물론 우리나라를 둘러싼 경제 환경이 크게 변화하였다. 세계화 추세 속에서 자본 및 외환 자유화가 진전되었고, 중국이 경제 대국으로 급부상하면서 가격 경쟁력만으로는 수출 시장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졌다. 2000년대 이후 우리나.. 2015. 4. 17. 전자 화폐란 - 화폐 가치 저장 전자 화폐는 매우 최근에 이르러 주목받기 시작한 지불 수단으로, 지폐나 동전의 형태가 아닌 전자 형태로 화폐 가치를 저장하여 즉시 결제와 교환이 가능하다. 인터넷상의 유료 디지털 콘텐츠 사이트나 인터넷 쇼핑몰에서 소액의 결제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사이버 머니 또는 명함 크기의 플라스틱 카드를 말한다. 전자 화폐에는 IC 카드형과 네트워크형이 있다. IC 카드형은 플라스틱 카드에 IC 칩을 부착해 화폐 가치를 저장한 것이다. 이 IC 카드형의 전자 화폐를 슈퍼마켓, 음식점, 자동판매기 등에 부착된 단말기에 접촉해 결제하게 된다. 네트워크형은 인터넷상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물품이나 콘텐츠의 대금을 지불한다. 5천 원, 1만 원 등 일정액이 담긴 카드를 구입한 다음, 카드 뒷면의 번호를 콘텐츠 업체의 지불란에 입.. 2015. 4. 16. 수요의 법칙으로 수요 곡선은 우하향한다 자동차 배기가스 때문에 생기는 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개인의 건강도 챙길 수 있다는 일거양득의 효과로 요즘 들어 자전거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ㅇㅇ 자전거 회사는 신제품 자전거를 출시하기에 앞서 예상 구매자들을 대상으로 시장 조사를 하였다. 자전거의 수요표에는 한 사람이 자전거를 한 대씩 산다고 했을 때, 가격대별로 자전거를 사려고 하는 사람의 수가 제시되어 있다. 이것을 그 가격에서의 수요량이라고 하고, 일정 기간 동안 수요자들이 사고자 하는 상품의 가격과 수요량 간의 관계를 수요라고 한다. 자전거의 가격이 15만 원일 때 사람들이 구입하고자 하는 자전거 대수는 11만 대이고, 가격이 24만 원이면 자전거의 수요량은 5만 대로 줄어드는 것을 볼 수있다. 전체적으로 자전거에 대한 수요량은 자.. 2015. 4. 14. 가계가 제공하는 생산 요소는 소득의 원천이 된다 가계는 기업에 노동, 자본, 토지 등의 생산 요소를 제공하고 소득을 얻는다. 기업은 노동 시장에서 가계가 제공한 노동을 구매하고 그 대가로 가계에 임금을 지불하며, 토지를 임대하여 토지를 포함한 자연 자원을 사용하는 대가로 지대를 지불한다. 또한, 기업은 건물, 기계 등의 물적 자본을 구입하기 위해 금융 시장을 통해 가계가 저축한 돈을 빌리고, 그 대가로 이자를 지불한다. 가계의 소득은 가계가 제공하는 생산 요소의 종류와 질에 따라 달라진다. 임금, 이자, 지대 등 다양한 형태의 소득 원천을 가진 가계가 그렇지 못한 가계보다 소득이 높으며, 동일한 노동의 양을 제공하더라도 노동의 질이 우수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소득이 높다. 2015. 4. 13. 희소성의 상대적인 개념 경제학에서는 절대적인 개수가 아니라, 상대적인 의미에서 희소성을 정의한다. 어떤 재화가 아무리많더라도 사람들의 욕망에 비해 충분하지 않다면 경제학에서는 그 재화를 희소하다고 한다. 반대로 재화의 개수가 아무리 적더라도 사람들이 그 재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그 재화를 희소하지 않다고 말한다. 지구에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나무가 있다.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나무의 수는 무한대에 가깝다. 그러나 사람들의 욕구, 예를 들어 통나무집을 짓고, 땔감으로 사용하고, 종이를 만들려는 욕구에 비하면 지구에 존재하는 나무의 수는 너무 적다. 그래서 경제학에서는 나무를 희소하다고 한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386 컴퓨터의 수는 나무와 비교해 보면 턱없이 적다. 하지만 요즈음 세상에 386 컴퓨터를 찾는 사.. 2015. 4. 12. 무역은 비교 우위의 원리에 따라 이루어진다 비교 우위는 다른 나라에 비해 더 작은 기회비용으로 재화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한 나라에서 어떤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 포기하는 재화의 양이 다른 나라보다 적다면 비교 우위가 있는 것이다. 비교 우위는 경제적 능력이 서로 다른 국가 간에 무역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 주는 원리이다. 각 나라가 자국에 비교 우위가 있는 재화를 특화 생산하여 무역을 하면 서로 이득을 얻기 때문이다. 위의 표에서 갑국은 옷을 상대적으로 더 작은 기회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옷에, 을국은 꿀을 상대적으로 더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으므로 꿀에 비교 우위를 갖는다. 이때, 갑국과 을국이 각각 비교 우위를 갖는 옷과 꿀을 생산하여 무역을 하게 되면 어떠한 변화가 나타날지 무역 이전과 무역 이후를 비교해 보자. 무역 이전.. 2015. 4. 10.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