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삶288

지역주의를 통한 경제 협력도 활발해지고 있다 세계화와 함께 전개되고 있는 세계 경제의 또 하나의 흐름은 지역주의의 확산이다. 지역주의는 지리적으로 가깝고 경제적으로 상호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이 공통의 이해 증진을 위해 경제 블록을 만드는 것이다.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회원국 간에 관세를 인하하거나 여러 무역 제한을 없애려고 노력한다. 지역주의는 세계화로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지역적인 차원에서 경제 협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급속하게 퍼지고 있다. 아시아·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유럽 연합(EU), 북미 자유 무역 협정(NAFTA), 남미 국가 연합(UNASUR) 등이 대표적인 지역주의 경제 협력체이다. 지역주의는 회원국 간에는 무역 장벽을 없애고 자유 무역을 촉진하여 교역을 증대함으로써 높은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 2016. 8. 13.
소비자 물가 지수 품목 개편으로 본 생활 변화 통계청은 5년마다 정확한 소비자 물가 조사를 위해 대상 품목을 교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사 품목을 시기별로 살펴보면 소비 행태가 꾸준히 변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광복 직후, 1947년에는 쌀, 장작, 고춧가루 이 세 가지 품목이 가계 소비 지출의 거의 절반 정도(46.3%)를 차지하였다. 산업화로 고도성장을 구가했던 1970년대에는 흑백텔레비전, 냉장고, 선풍기, 전화기 등 각종 가전제품이 조사 대상에 포함된 반면, 시골 장터의 인기 품목이었던 장국밥, 곰탕 등은 조사 대상에서 빠졌다. 1980년대에는 컬러텔레비전, 전철 이용료, 초코파이, 생맥주 그리고 학원비와 같은 사교육비가 본격적으로 포함되었다. 이에 비해 흑백 필름, 흑백텔레비전, 고무신, 머릿기름 등 1960~1970년대 생활 속에 .. 2016. 8. 10.
주식 시세표에서 화살표의 의미 빨간색 ▲는 주식 가격이 올랐음을, 파란색 ▼는 주식 가격이 내렸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식 시세표에 빨간색 표시가 많을수록 우리나라 경제가 활발하게 잘 돌아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코스피 지수에서 ▲406이란 주가가 올라간 종목 수가 406개라는 뜻이며, ▼385는 하락한 개수를 뜻한다. 또한, 종목 시장에서는 종목 가격이 급격히 변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하루에 오르고 내릴 수 있는 주식 가격의 폭을 정해 놓고 있다. 가격 제한 폭은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하여 30%이내이다. 󰀺와 󰀻는 그 주식의 가격이 그날 변동할 수 있는 가격의 최대 폭만큼 오르고 내렸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6. 8. 7.
시장의 실패를 보완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에도 한계가 있다 시장 실패가 가져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개입하면 과연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 그런 경우도 있지만 정부의 개입이 문제를 충분히 해결하지 못하거나 오히려 악화시킬 때도 있다. 이 경우에 정부 실패가 발생했다고 한다. 정부 실패가 생기는 가장 본질적인 원인은 정부도 다른 경제 주체들처럼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가지지 못하는 데 있다. 이는 다시 제한된 정보와 미래에 대한 부정확한 예측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제한된 정보는 정부가 외부 효과를 보완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된다. 예를 들어 세금 부과를 통해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하려면 외부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과도하게 부과된 세금이 기업 활동을 위축시켜 시장 실패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정부 .. 2016. 8. 4.
최저 가격을 따르지 않는 동네 점포의 시장 환경 내가 사는 동네에서 경제 이론과 경제 현상은 일치하지 않을 때가 많다. 예를 들어 경제학 정설에 따르면 사람들은 이기적이고 합리적이라 물건을 살 때 싼 가격을 찾는다. 그러나 우리 동네 모퉁이에서 서로 경쟁하는 점포들은 똑같은 제품이라도 매우 다른 가격으로 판매한다. 흥미로운 점은 소점포 중 일부는 크고 효율적인 점포보다 가격이 전반적으로 더 높은데도 장사가 잘 된다는 사실이다. 시장은 최저 가격으로 판매하는 기업을 선호한다는 이론은 우리 동네에서 적용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 동네 주민들과 점포 사이의 관계는 의사소통, 신뢰, 즉 인간 관계를 바탕으로 한다. 이 관계는 부분적으로 역사와 사회적·민족적 다양성에서 나온다. 종종 이 관계는 시장의 힘보다 더 강하다. - 피트 런, "경제학이 숨겨 온 .. 2016. 8. 1.
의사 결정 모형 대안 나열하기 의사 결정 모형의 둘째 단계는 취할 수 있는 선택 대안들을 나열하는 일이다. 이 세상에는 수많은 선택 대안이 있지만, 모든 대안을 고려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상식적으로 타당한 개수의 대안을 나열한다. 성진이가 구입하고 싶은 상품들을 나열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때 나열한 선택 대안들은 20만 원으로 구매할 수 있는 가격 범위 안에 있어야 한다. 성진이는 선택 대안을 휴대 전화, MP3 플레이어, 게임기, 운동화와 옷 한 벌의 4가지로 좁혔다. 2016.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