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학과 삶/문학 만들기 49

시에서 운율감 있게 표현하기

시의 음악성은 운율을 통해 실현된다. 운율이란 일정한 운율적 요소를 반복할 때 나타난다. 같은 위치에 동일한 운rhyme을 배치하거나, 음절이나 음보를 일정하게 배열함으로써 율격meter의 효과를 노리는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외형적인 운율이 사라진 현대의 자유시나 산문시에서도 시의 의미 구조나 호흡에 어울리는 내재적 운율을 지니고 있다. 시가 운문 문학이라는 것은 외형률과 내재율에 의한 운율감이 들어 있는 문학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운율감에 대한 배려가 없다면 시와 산문을 구별할 수 있는 근거가 사라지는 것이다. 시에서의 이러한 음악성은, 독자에게 한 편의 시에 담긴 총체적 정서를 보다 정교하게 전달하고 감동적 여운을 남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운율적인 표현의 효과는 일상 생활에서도 폭 넓게 확인된..

시 창작에서 '아름답게 표현하기' 들어가기

시는 형태상의 길이가 짧아서 외적인 구조가 단순해 보이지만, 시의 감상과 창작은 그리 쉽지 않다. 시는 구조적으로 단순해 보이지만 심미적 복합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바꾸어 말하면, 시인의 감정과 사상을 다양한 시적 장치를 빌려 짧은 표현 속에 압축시킴으로써 심미적 진실을 표현하는 것이 시 창작의 특징이라 할 수있다. 그리고 압축된 표현 속에 심미적 복합성을 담아 내려면, 운율과 심상을 담은 표현, 다양한 비유적·상징적 표현, 반어와 역설적 표현 등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제 내면적 체험을 심미적 진실로 표현하는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실제 활동을 통해 익혀 보기로 하자.

'나'의 목소리로 표현하기

서정시는 1인칭 발화의 표현 양식이다. '나'만의 개성적 시각과 내면적 체험을 자신의 인격을 통해 직접 표현한다는 점은 시라는 문학 갈래가 지닌 고유한 매력이다. 서정시를 가리켜 '엿듣는 독백'이라고 하는데, 이는 시인이 자신의 내면적 체험을 자기 자신에게 고백하듯 말하고, 독자는 그것을 몰래 엿듣는 것처럼 작품을 수용하기 때문이다. ( 이 시는 노동의 현장에서 오는 삶의 경험을 '강'이라는 자연물의 심상과 결합시켜 깊은 시적 의미를 얻고 있다. 노동의 가치를 부당하게 취급하는 현실에서 느끼는 분노와 고통을 시인은 흐르는 물에 씻어 버리며 삶을 반추하는 계기로 삼고 있다.) 이 시는 중년 노동자의 고단한 삶을 통해 민중의 아픔을 말하고 있는 작품이다. 시인 스스로 시적 화자, 즉 노동자가 되어 구체적인 ..

싯구 연결하여 화자의 감정 전달하기

다음은 우리집으로 넘어 온 이웃집의 감나무를 소재로 한 시이다. 시인의 감정을 구체화하여 시의 뒷부분을 2~3연 정도 생각해 보자. 작품의 맥락을 파악하고, 서정적 자아 및 딸, 아들, 아내, 이웃집 주인의 정황과 월경한 감나무로 인해 일어날 수있는 일을 짐작하여 화자의 감정을 생생히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본다.

'나'를 표현하기 - 정서를 구체화하기

시는 글을 쓰는 사람의 주관적인 정서를 표현하는 문학 갈래이다. 따라서 '무엇을 표현할 것인가'를 선택할 때에는 단순히 외부 대상에서 소재를 찾는데 그치지 말고, 그 소재를 통해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정서를 구체화해야 한다. 외적 대상에 대한 즉물적 묘사에 그치거나, 혹은 모호한 감정을 관념적으로 표현하면 독자의 공감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다. 주관적인 감정을 직접 드러내지 않고 외부의 사물을 묘사할 때에도 그 묘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내면적 체험이 무엇인지 세심하게 고려해야 하고, 또 이를 가능한 한 구체화시켜 표현해야 한다. 앞서 살펴본 '국화 옆이서'의 4연을 살펴보자. 노오란 네 꽃잎이 피려고간밤엔 무서리가 저리 내리고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 보다. 시인은 국화라는 대상을 개성적으로..

정한모의 '나비의 여행' - 휴머니즘의 참된 모습

다음 시는 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전후의 현실에 접근하고 있다. '아가'가 처한 현실과 꿈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후의 현실을 인식하는 시인의 개성적인 시각에 대해 살펴보자. 이 시에서 '나비의 여행'과 '아가의 꿈'은 이 시인이 추구하는 휴머니즘을 보여 주는 싱징이다. 현실의 비이성적 폭력성 앞에서 나약한 존재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나비(아가)의 여행(꿈)을 통해서 부조리한 현실을 고발하고 비인간적인 가치와 질서를 부정하는 가운데 휴머니즘의 참된 모습을 은유적으로보여 주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