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학과 삶/펼쳐진 문학세계 49

통영 오광대統營五廣大

'통영 오광대'는 조선 후기의 사회 변동과 민중의 비판적인 현실 인식을 배경으로 성립된 가면극 중의 하나이다. 양반에 대한 비판과 공격을 통해 현실의 모순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말뚝이'라는 등장 인물을 중심으로 한국 문학의 풍자와 해학을 이해해 보자. 말뚝이의 역할 말뚝이는 민중으로 대변하는 전형적인 인물로 풍자적, 해학적 어조를 사용하여 양반을 조롱하고 공격한다. 말뚝이는 당대 서민들의 언어를 구사하여 서민을 대변하고, 때로는 양반의 권위적인 말투를 흉내내는 반어적 수법으로 양반을 풍자하기도 한다. 경남 통영統營 지역에서 발생한 '통영 오광대'는 다른 가면극들과 마찬가지로 조선 후기의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이는 민중들의 성숙된 현실 인식과 비판 정신을 바탕으로 양반 계급의 허위성을 폭로하고 ..

바리데기 - 전통 무속 오구굿

'바리데기'는 우리의 전통 무속인 오구굿에서 가창되는 서사 무가敍事巫歌로서 구비 문학의 중요한 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이 담고 있는 한국적 정한의 세계와 민중의 내세관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또한 이야기 구조를 통해 한국 서사 문학의 갈래적 특성을 이해해 보자. 바리데기의 구조 '이승의 버림 -> 이승과 저승 사이의 세계인 영계에서 시련 -> 이승으로 귀환하여 부모를 살림 -> 죽은 영혼을 천도하는 별이나 무당이 됨'의 구조로 짜여져 있다. 작품의 줄거리 옛날 불라국의 오귀 대왕은 딸만 여섯을 낳았다. 그러던 차에 신령님께 치성을 드려 아이를 잉태하지만, 낳고 보니 일곱째도 또 딸이었다. 이에 화가 난 왕은 그 딸을 갖다 버리도록 시키고, 왕비는 그 이름을 '바리데기'라고 지..

임금을 사모하는 마음을 대화 형식으로 노래한 속미인곡續美人曲

'속미인곡'은 '사미인곡'의 속편으로 임금을 사모하는 마음을 대화 형식으로 노래한 것이다. 특히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구사하고 있으며, 문학성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작품을 통해 전통 시가 문학의 한 갈래인 가사의 형식적 원리와 미 의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와 함께 한국 문학이 갖추어야 할 요건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고려 말에 발생한 가사歌辭의 초기 작품은 유교적 덕목을 토로하거나, 자연에 접촉하여 느끼는 서정을 표현한 것이 많다. 이 작품은 '사미인곡'의 속편으로 임금님을 사모하는마음을 노래하였다. 그러나 '사미인곡'이 한자어를 비교적 많이 사용하여 표현한 반면, '속미인곡'은 자신의 생활과 감정을 주로 우리말을 사용하여 소박하고 진실하게 표현하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이별의 정한情恨을 형상화한 '가시리'

'가시리'는 한국 문학의 특질 중 하나인 이별의 정한情恨을 자연스럽고 소박하게 형상화한 고려 가요로, '귀호곡歸乎曲'으로도 불린다. 이 노래에 나타난 음악성·시어의 함축적 의미·지배적 정서 등에 유의하면서 작품을 감상하고, 이별의 정한을 다루고 있는 다른 작품들과도 비교해 보자. '가시리'는 보내고 싶지 않은 임을 보내야 하는 모순된 상황 속에서 서정적 자아가 느끼는 정한의 정서를 담고 있다. 이러한 정서를 간결한 민요적 형식에 맞춰 소박하면서도 애절하게 표현한 점이 이 작품의 특징이다. 정한의 정서는 우리 시의 중요한 특질 중 하나로서 한국적 미의식이 발현된 것이다. 고려 가요, 시조, 가사, 민요 등 전통 시가 문학뿐만 아니라, 김소월의 '진달래꽃', 서정주의 '귀촉도' 등 현대의 전통주의적 시 창작..

한국 문학의 미의식 - 멋, 한, 신명, 해학과 풍자, 한풀이 의식, 자연 친화 의식

한국 문학에는 한국인의 독특한 개성과 풍속, 사상과 감정, 사회적 배경이 깃들어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문학 작품 속에서 독특한 미의식을 형성한다. 한국 문학의 고유한 특질 혹은 민족적 특성으로 이야기하는 '멋', '한', '신명', '해학과 풍자', '한풀이 의식', '자연 친화 의식' 등이 좋은 예이다. '멋'은 격식에 맞으면서도 격식은 뛰어넘는 변형을 추구하는 미의식이다. 이러한 '멋'은 기계적인 율격의 구속을 거부하는 전통 시가의 리듬 의식에서 잘 나타난다. '한恨'은 주어진 운명에 순응하면서도 그로 말미암은 슬픔을 승화시키려는 정서로 우리 문학의 중요한 미의식을 이룬다. 고려 가요인 '가시리'나 여성 작가에 의해 창작된 시조와 가사 등에 그러한 한국적 정한이 잘 나타나 있다. 이에 비해서 판소리..

한국 문학의 갈래 - 서정, 서사, 극, 교술 문학

한국 문학사에 나타났던 하위 갈래들을 상위 갈래로서의 서정·서사·극·교술 문학을 기본 축으로 삼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정 문학에는 고대 가요, 향가, 고려 가요, 시조, 잡가, 서정 민요, 한시, 신체시, 현대시 등이 있다. 둘째, 서사 문학의 경우에는 서사시, 설화(신화, 전설, 민담), 서사 민요, 서사 무가, 판소리계 소설, 고전 소설, 신소설, 현대 소설 등이 있다. 셋째, 극 문학에는 탈춤(가면극), 꼭두각시놀음(인형극), 창극, 신파극, 현대극 등이 있다. 넷째, 교술 문학의 경우에는 서序, 발跋, 전傳, 기記 등의 한문 문학의 문류文類 등과 수필, 편지, 일기, 기행문 등이 있다.

한국 문학의 범주와 성격

한국 문학은 한민족의 개별 문학으로서 세계 문학의 일부를 이룬다. 개별 문학으로서 한국 문학을 정의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창작 주체로서의 '한국인', 표현 매체로서의 '한국어'와 '한국 문자'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우리 민족은 단일 민족으로 오랜 역사를 살아왔기 때문에 창작 주체가 '한국인'이어야 한다는 규정에는 누구나 동감한다. 즉, 한국 문학은 한국인의 삶과 역사 속에서 자연스럽게 우러나온 생각과 감정이 표현된 문학이다. 한글은 15세기에 이르러서야 창제되었다. 한국 문학의 규정에서 '한글'이라는 문자를 절대시할 경우, 국문 문학 이외의 모든 한문학漢文學은 한국 문학에서 배제되어야 한다는 경해가 성립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견해는 한글 창제 이전에 오랜 세월 동안 우리의 문자 생활이 주로 한..

한국 문학 전통과 세계 문학 길잡이 글

문화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과거의 문화는 축적되어 현재의 문화 속에 자신의 흔적을 아로새기며, 현재의 문화 속에는 미래에 나타날 문화가 배태되어 있다. 거대한 용광로와 같은 한 시대의 문화 속에서 서로 다른 시대에 속하는 문화가 서로를 끌어당기고 밀쳐내면서 새로운 문화를 생성시켜 나가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창작하고 향유하는 문학 속에서도 문학적 전통의 영향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시대의 문학 문화를 이해하려면 그것을 형성·배태시킨 문학적 전통, 즉 문학사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수적이다. 한국의 문학 문화 속에 등장하였던 다양한 문학 갈래나 특질에 대한 이해는 물론,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에 대한 문학문화의 대응 방식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한편 우리는 한국 뿐만 아니라 세계 문학 또한 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