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와 삶 287

지속적인 성장으로 경제적 위상이 높아지다

우리나라가 생산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비교하면 우리 나라의 경제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경제 규모는 2009년을 기준으로 세계에서 15번째로 크다. 경제 규모가 가장 큰 미국은 세계 경제의 24.5%를 차지하고 일본, 중국, 독일 등 3개국이 23.0%를 차지한다. 이어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브라질, 에스파냐, 캐나다, 인도, 러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멕시코, 한국, 네덜란드 등 11개국이 25.1%를차지하고 그 외의 국가들이 나머지 22.8%를 차지한다. 1970년에만 해도 우리 나라의 경제 규모는 세계에서 30위권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이후의 고도 성장에 힘입어 1980년에 20위권으로 진입한 데 이어 1990년에는 세계 15위로 경제 규모가 커졌다. 200..

실질 이자율은 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이자율

이자율은 물가의 변동을 고려하는지에 따라 명목 이자율과 실질 이자율로도 구분된다. 물가 상승이나 물가 하락을 고려하지 않은 이자율을 명목 이자율이라고 한다. 우리가 지금까지 예로 든 이자율은 모두 물가 변동에 따른 구매력의 변화를 생각하지 않은 명목 이자율이다. 이와는 달리, 실질 이자율이란 물가 변동을 고려한 이자율이다. 앞의 예에서 100만 원을 1년 동안 예금할 때의 연간 이자율 5%는 명목 이자욜이다. 그런데 만일 예금을 한 1년 사이에 물가가 3% 상승했다면, 현재와 1년 후 100만 원의 구매력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어떤 재화의 가격이 현재 10만 원이라면 100만 원의 현재 구매력은 이 재화 10개와 같다. 1년 후에는 연이율 5%인 예금에 저축한 100만 원이 105만 원이 되고 물건 ..

연관재, 미래 가격, 수요자의 수가 수요에 미치는 영향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다른 상품과 일정한 관계를 갖는 상품들이 있다. 콜라와 사이다, 홍차와 녹차처럼 그 쓰임과 용도가 비슷하여 한 상품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대체재라고 한다. 한편, 커피와 설탕, 프린터와 종이, MP3 플레이어와 음원 등은 따로따로 소비할 때보다 같이 소비할 때 더 큰 만족을 얻을 수 있다. 이를 보완재라고 한다. 홍차의 가격이 오르면 대체재인 녹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녹차 시장에서 녹차의 수요 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커피의 가격이 오르면 보완재인 설탕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설탕 시장에서 설탕의 수요 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처럼 대체재는 한 재화의 가격이 오르면 다른 재화의 수요가 증가하고, 보완재는 한 재화의 가격이 내리면 다른..

수요를 변동시키는 대표적인 요인 - 소득, 기호

어떤 상품의 수요량을 변동시키는 요인은 그 상품의 가격이라는 점을 수요량의 변동 개념을 통해 알게 되었다. 그렇다면 특정 상품의 수요를 변동시키는 요인은 무엇일까? 수요자의 소득, 수요자의 수, 기호, 연관재의 가격, 그리고 수요자의 미래 가격에 대한 예상 등을 대표적인 수요의 변동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먼저 수요자의 소득 변화에 따른 수요의 변동에 대해 알아보자. 사람들은 대체로 소득이 증가하면 원래의 가격에서 구입하고자 하던 상품의 수요를 늘리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수요 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소득이 줄어들면 수요가 줄어, 수요 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한다. 대부분 재화는 소득이 증가하면 수요도 증가하는데, 이를 정상재라고 하고, 이와는 달리 소득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감소하는..

노동은 사회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가계는 노동을 제공한 대가로 임금을 받고, 임금으로 소비, 저축 등의 경제생활을 한다. 노동은 인간의 정신적, 물리적 능력을 생산 수단으로 이용하여 소득을 얻는 수단이며 동시에 사회에서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는 기회이다. 즉, 노동은 임금 소득의 원천이자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는 방법이다. 또한, 가계가 제공하는 노동은 생산의 기초로서 자본의 투입, 기술 진보와 함께 경제 성장의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노동량이 줄어들면 성장은 둔화할 수밖에 없다. 21세기 각국이 직면한 문제 중 하나는 고령화의 출산율 저하에 따른 경제 활동 참여 인구의 감소와 이로 말미암은 경제 성장의 동력 저하이다. 여러 국가는 해외 노동력의 유입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 노동력의 유입만으..

무인도에서의 세 가지 기본 경제 문제

비행기가 불시착해서 10명 정도의 사람이 무인도에 남게 되었다고 상상해 보자. 이들도 세 가지 경제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여러분이 이들 가운데 한 명이라 하고, 세 가지 경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생각해보자. 무엇을 우선하여, 그리고 더 많이 생산하겠는가? 그에 따라 포기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어떤 방법으로 그것을 생산할 것인가? 일의 역할 분담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생산한 것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 그와 같은 분배 방법의 장점은 무엇일까? 그 분배 방법을 따르면 어떤 사람이 불만족스러워할까?

무역을 통해 소비 가능 영역이 확대되어 무역 이익이 생긴다

비교 우위의 재화에 특화하여 무역을 하면 각 국가 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재화를 소비할 수 있다. 즉, 각국이 소비할 수 있는 영역이 확대된다. 무역에 참여한 나라들이 얻을 수 있는 경제적인 이익을 앞에서 공부한 생산 가능 곡선을 사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앞의 갑국과 을국의 예에서 무역이 이루어지기 전 갑국의 생산 가능 곡선 선분 AB위의 한 점인 F를 선택하여 생산과 소비를 하고 있다. 그런데 갑국이 비교 우위를가지는 옷에 특화하여 생산하면 A점, 즉 옷 50벌을 생산하게 된다. 갑국이 옷 20벌과 꿀 30병을 교환한다는 교역 조건을 따르기로 하였을 때 옷 50벌을 생산하여 이를 모두 수출한다면 75병의 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이것은 B' 점을 소비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

이자는 돈을 빌린 대가이다

일상 생활을 하다 보면 남는 돈을 은행에 예금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빌려 줄 때도 있지만 돈이 부족해서 빌려야 할 때도 있다. 돈을 빌린 사람은 일정 기간 돈을 빌려 쓴 것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는데 이를 이자라 하며, 이자의 원금에 대한 비율을 이자율 또는 금리라고 한다. 이자는 은행에 예금하는 경우에도 생긴다. 이것은 은행이 예금주의 돈을 빌려 쓴 대가라고 말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행에 10만 원을 예금하고 1년 뒤에 11만 원을 받는다고 한다면, 돈을 예금한 대가로 받는 1만 원이 이자이다. 이 경우 예금 이자율은 원금 10만 원에 대한 이자 1만 원의 비율, 즉 10%이다. 따라서 이자는 현재의 소비를 희생한 대가라고도 볼 수 있다. 즉, 10만 원을 예금하지 않았으면 누릴 수 있었던 영화 관람..

수요량의 변동과 수요의 변동은 다르다

수요량은 특정 가격 수준에서 수요자가 구매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상품의 수량을 의미한다. 가격의 변동에 따라 수요량이 변동하는 것을 수요량의 변동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변동은 수요 곡선 위에 있는 점의 이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수요량의 변동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한편, 수요란 수요표에 나타나 있는 개별 가격과 수량 간의 모든 관계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특정 상품의 수요 곡선 자체가 된다. 가격 이외의 요인들이 변화하면 수요 곡선 자체가 이동하는데, 이를 수요량의 변동과 구분하여 수요의 변동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수요가 증가한다는 것은 모든 가격 수준에서 더 많은 상품을 구매하고자 한다는 의미이고, 이 경우 원래의 수요 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1997년의 우리나라 외환 위기

1997년 7월 타이에서 시작된 외환 위기의 불길이 우리 경제로 옮겨 붙기 시작했다. 그 해 11월에 들어서면서 환율이 크게 불안해지기 시작했고, 이에 위기감을 느낀 정부가 외환 시장에 엄청난 양의 달러를 풀었지만, 환율은 하루가 다르게 치솟았다. 그 이전까지 줄곧 900원대를 유지하던 대 달러 환율이 12월에는 종전의 두 배가 넘는 2,000원 수준까지 뛰어올랐다. 정부는 상황을 제대로 판단하지 못한 채 계속 달러를 시장에 내다 팔았고, 그 결과 외환 보유액이 거의 바닥나 국가 부도 진전의 위급한 상황을 맞게 되었다. 이 외환 위기는 우리 경제에 엄청난 충격을 가져다주었다. 지난 20여 년 동안 7%에 가까운 수준을 유지해 왔던 경제 성장률은 1998년에 이르러 - 5.7%로 곤두박질 치고 실업률도 7..

반응형